2025년도 제2회 신입직원 공개채용
한국기계연구원 | 공공기관
- 2025년 8월 11일 (월) ~ 2025년 9월 1일 (월)
- 정규직
공통사항 및 근로조건
[지원자격_공통] - 「국가공무원법」 제33조(결격사유) 각 호에 해당하지 아니한 자 및 해외여행 결격사유가 없는 자 -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제82조(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제1항 각 호에 해당하지 아니한 자 - 「인사규정」 제15조(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한 자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에 제한이 없는 자 - 법률에 의하여 공민권이 정지 또는 박탈된 사실이 없는 자 - 연구원 및 다른 공공기관에서 최근 5년 이내 부정한 방법으로 채용된 사실이 적발되어 채용이 취소된 사실이 없는 자 - 병역의무대상자의 경우 모집공고 마감일 기준 병역필 또는 면제자로서 병역의무를 기피한 사실이 없는 자 · 전문연구요원으로 복무 중인 경우, 임용일까지 전직이 가능한 자도 지원 가능 - 지원분야의 근무지(본원(대전) 및 지역조직(대구, 김해))에서 근무 가능한 자 - 연령 및 국적 제한 없음 · 단, 연구원 정년 61세 기준을 초과한 자는 지원 불가 [근무조건 및 처우] - 보수수준 : 수학 및 경력사항 등에 따라 산정하며, 직원 평균보수 및 신입사원 초임은 ONEST 전문가 포털 경영공시 참고 - 근무지역 · 한국기계연구원 본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북로 156 · 대구융합기술연구센터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테크노순환로 330 · 김해극저온기계실증연구센터 : 경남 김해시 주촌면 골든루트로 80-140 ※ 자세한 사항은 채용 홈페이지 및 홈페이지 內 첨부파일 참조 바랍니다.
제출 서류
[지원서 접수 단계] - 공통 ·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 온라인 작성(필수) · 추천서(선택사항) · 경력/재직증명서(해당자에 한하며, 나이, 성별, 사진 등의 정보를 블라인드한 PDF 파일을 지원서 첨부파일로 업로드) · 지원서에 작성한 관련 자격 및 우대사항 증빙서류(해당자에 한하며, 나이, 성별, 사진 등의 정보를 블라인드한 PDF 파일을 지원서 첨부파일로 업로드) · 취업지원대상자(보훈)증명서, 장애인(장애인증명서) 증빙서류(해당자에 한하며 나이, 성별, 사진 등 차별적 요소를 포함한 개인정보를 블라인드한 PDF 파일을 지원서 첨부파일로 업로드) ※ 자세한 사항은 채용 홈페이지 및 홈페이지 內 첨부파일 참조 바랍니다.
접수 방법
- 온라인 채용 시스템(http://kimm.recruitment.kr) 접수(우편, 방문, 이메일은 접수하지 않음) ※ 모집분야간 중복접수는 불가합니다.(모집분야 1개만 접수 가능합니다.)
전형단계
문의방법
- 기타 상세한 사항은 채용 담당자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문의처] 전자우편(E-mail) : recruit@kimm.re.kr
기타 유의사항
- 지원서 기재 내용의 착오 또는 누락으로 인하여 발생한 불이익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 자세한 사항은 채용 홈페이지 및 홈페이지 內 첨부파일 참조 바랍니다.
기업정보
공공기관
연구개발 외
인재상
- 창조: 글로벌 마인드를 가진 창조적인 인재
- 도전: 변화와 도전으로 미래를 개척하는 인재
- 융복합: 협력하는 연구로 세계일류를 선도하는 인재
기업소개
한국기계연구원은 K-Machine을 선도하는 세계적인 종합 기계 연구기관이 되겠습니다. 한국기계연구원은 지난 1976년 설립 이후 우리나라 기계산업을 비롯한 제조업의 성장을 견인하며 국가 경제 성장을 묵묵하게 뒷받침해 왔습니다. 한국기계연구원은 글로벌 이슈에 주도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탄소중립, 기후기술, 에너지 전환, 모빌리티 등 기관의 종합적인 역량을 한층 끌어올리고, 더 나아가 그동안 모든 산업의 기반기술로서 혁신과 융합의 플랫폼 역할을 수행한 기계기술이 새로운 변화를 극복할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성장을 이끌어 나가겠습니다. 또한 이른바 ‘VVIP’, 고객중시(VOC), 가치창출(Value Creation), 진실성(Integrity), 개척정신(Pioneer)의 4가지 핵심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초격차 R&D 리더십을 구축하고, R&D 체계와 조직 고도화, 기술사업화 및 기술이전 가속화, 퀀텀 점프 기반 확보 등을 추진해 글로벌 1등 종합 기계 연구기관으로 도약하겠습니다.
연혁
- 2013년 02월
부산레이저기술지원센터 설립
- 2017년 07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로 소관부처 변경
- 2020년 11월
부설 재료연구소 독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