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프로그래머

소프트웨어 개발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comment

게임프로그램의 구조를 설계하고 게임프로그래밍을 수행한다.

게임프로그래머가 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전문대학의 게임관련 정규 교육과정을 이수하거나 게임 인력을 전문적으로 양성하는 게임아카데미 등의 사설학원, 대학의 사회교육원에서 교육훈련을 받으면 된다.대학에서는 게임관련학과가 있고, 특성화 고등학교에 컴퓨터게임제작과가 설치되어 있다.이들 학과에서는 게임기획, 게임연출, 게임프로듀싱 및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교육, 게임시나리오 작성, 아이디어 창출교육, 게임그래픽디자인, 게임프로그래밍, 게임음악 등을 교육한다.게임 인력을 전문적으로 양성하는 사설교육기관에서는 3D애니메이션, 웹프로듀서, 디지털웹디자인, 게임프로그래머, 게임그래픽디자인 등을 실습 위주로 교육하고 있으며, 게임제작자가 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분야 중 하나 이상의 분야를 필수적으로 공부해야 한다.Visual Tool, C언어 능숙자, 컴퓨터그래픽애니메이션 개발자나 실무경력 2∼3년의 경력자가 유리하며 윈도우, 포토샵, 프리미어, 프로그래밍언어(어셈블리, C/C++ 등), 자료구조 등에 대한 지식이 요구된다.

직무 관련 역량
게임공학과
게임프로그래밍전문가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게임프로그래머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2017년 국내 게임산업 매출액은 2016년 대비 2.9% 증가한 11조 6,000억 원, 수출은 6.4% 증가한 36억 7,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기대된다.게임은 PC게임, 온라인 게임, 모바일 게임 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이 활성화되면서 이 분야의 개발 부문의 인력에 대한 수요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IT산업에 대한 정부차원의 육성책 가운데 문화산업과 관련하여 게임산업의 집중육성책 및 이에 따른 전문인력양성과 관련학과 지원 등이 포함돼 있다.이와 같이 정보기술가운데 게임소프트웨어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날로 커지고 있다.따라서 게임프로그래머에 대한 고용수요도 다소 증가할 것이며, 이러한 증가세는 향후에도 지속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지식

컴퓨터와 전자공학(95)
산수와 수학(91)
영어(78)
물리(76)
공학과 기술(75)

업무환경

자동화 정도(86)
앉아서 근무(85)
재택근무(85)
연설, 발표, 회의하기(82)
이메일 이용하기(79)

성격

꼼꼼함(75)
분석적 사고(73)
협조(72)
성취
노력(70)
신뢰성(70)

흥미

예술형(Artistic)(86)
관습형(Conventional)(75)

직업가치관

개인지향(97)
신체활동(83)
자율(80)
다양성(77)
타인에 대한 영향(76)

업무활동 중요도

창조적 생각(99)
컴퓨터 업무(98)
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85)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4)
사물, 행동, 사건 파악(76)

업무활동 수준

창조적 생각(99)
컴퓨터 업무(97)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8)
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85)
업무 계획, 우선순위 결정(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