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사무원

경영지원 사무원 | 경영·사무·금융·보험직

comment

관공서 또는 기업체에서 효율적인 감사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감사기획 및 지침수립 등 감사 실시에 따른 제반업무를 수행한다.

감사사무원이 되기 위해서는 내부 및 대외규정, 관련 법규 등을 모니터링하고 교육, 자문을 하기 위한 법, 행정, 회계 관련 전공을 공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특별한 자격증은 없지만, 인터넷 활용능력과 컴퓨터를 활용한 문서작성능력이 필수적이며, 사내에서 일정기간의 교육훈련과 현장견습을 받아야 한다.채용은 다른 사무원과 유사하게 신입사원이나 경력사원을 공개채용하는 편이지만, 업무의 특성상 관련 업무를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경력자를 선호한다.

직무 관련 역량
법학과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감사사무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감사사무원은 일정규모 이상의 기업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인력이므로 고용등락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을 수 있고, 최근 친환경제품과 서비스생산을 비롯해 윤리경영, 지속가능한 경영 등 기업의 사회적 책무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기업경영의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인력의 역할과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하지만 기업 내에서 다른 사무원에 비해 제한된 업무를 다루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일자리 창출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지식

법(94)
경제와 회계(89)
국어(86)
인사(85)
경영 및 행정(84)

업무환경

앉아서 근무(92)
공문, 문서 주고받기(90)
마감시간(89)
다른 사람과의 접촉(86)
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84)

성격

정직성(83)
분석적 사고(76)
신뢰성(76)
자기통제(74)
스트레스 감내성(71)

흥미

관습형(Conventional)(92)
현실형(Realistic)(89)

직업가치관

신체활동(93)
심신의 안녕(86)
고용안정(85)
경제적 보상(84)
타인에 대한 영향(84)

업무활동 중요도

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2)
행정, 관리 업무(77)
정보 처리(74)
정보, 자료 분석(68)
정보 작성, 기록(67)

업무활동 수준

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83)
행정, 관리 업무(78)
정보 처리(76)
정보, 자료 분석(70)
정보의 의미 해석(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