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관

경찰관, 소방관 및 교도관 | 교육·법률·사회복지·경찰·소방직 및 군인

comment

바닷가 및 바다에서 일어나는 위험과 범법행위로부터 국민의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며, 법률을 위반한 사람을 체포한다.

해양경찰관이 되기 위해서는 해양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 시험에 합격해야한다.응시조건은 채용연령이 공채순경 18세이상 ~ 40세 이하, 함정요원(전경) 20세 이상 ~ 30세 이하, 합정요원(해기사) 및 함정운용 18세이상 ~ 40세 이하, 간부후보 21세이상 ~ 40세 이하, 항공조종 23세 이상 ~ 45세 이하, 기타분야 20세이상 ~ 40세 이하이다.시험과목은 공채의 경우 필수2과목(한국사, 영어), 선택3과목(형법, 형사소송법, 해사법규, 국어, 수학, 사회, 과학), 함정요원(순경)은 필수 2과목과 선택 1과목(항해분야(항해술), 기관분야(기관술)) 등 분야별로 상이하다.체력검사는 시력 0.8 이상(교정) 및 색신 등 신체조건 만족해야 하며, 체력검정으로 100m달리기, 1200m달리기, 악력, 윗몸일으키기, 팔굽혀펴기에 통과해야 한다.이외 면접시험을 통과 후 해양경찰교육원에서 입사 전 교육을 받게 된다.

직무 관련 역량
경찰행정학과
응급구조사 1, 2급(국가전문)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해양경찰관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해양경찰청이 국민안전처로 편입된 이후 약 3년만에 독립 외청으로 돌아오게 되었다.이에따라 해양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을 별도로 채용하게 되었으며, 해양경찰관의 일자리 증가도 예상된다.해경은 현재 경찰관 8864명, 일반직 1096명, 의무경찰 2514명 등 총 1만 2474명의 정원을 유지하고 있다.정부가 공공부문의 일자리를 늘리려고 하고, 해양경찰청이 현장 인력 증원을 요구하고 있다.해경에서 재난안전관리체계 구축 및 현장 즉시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현장 인력을 늘리고, 내실있는 조직 운영 및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해 인력 구축계획을 발표한 만큼 향후 해양경찰관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식

법(94)
지리(86)
안전과 보안(85)
사회와 인류(78)
교육 및 훈련(76)

업무환경

움직이는 기계(97)
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91)
온몸 진동 노출(90)
실외 근무(88)
공문, 문서 주고받기(85)

성격

정직성(71)
자기통제(71)
리더십(70)
사회성(65)
신뢰성(62)

흥미

사회형(Social)(79)
진취형(Enterprising)(56)

직업가치관

이타(88)
애국(87)
고용안정(85)
인정(58)
성취(45)

업무활동 중요도

일반적인 신체활동(84)
차량, 기계, 장비 작동(69)
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65)
전자장비 유지 보수(63)
정보 작성, 기록(63)

업무활동 수준

일반적인 신체활동(93)
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88)
사물, 행동, 사건 파악(87)
상사, 동료, 부하직원과 소통(87)
차량, 기계, 장비 작동(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