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교사

유치원 교사 | 교육·법률·사회복지·경찰·소방직 및 군인

comment

유치원에서 취학 전 유아들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발달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기초적인 자연과학, 사회과학, 예체능 등의 교육 활동을 지도한다.

유치원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유아교육 관련 학과를 전공하면 된다.관련 학과에서는 유아의 신체·인지·사회·정서·언어 등 발달적 측면을 다루는 발달심리학, 발달 특성에 기초한 유아교육학, 일반교육학, 유아교육과정 구성에 지지기반이 되는 교육철학, 아동사회학과 유아행동관찰, 유치원운영관리, 부모교육 등 문제 및 연구들과 같은 부분을 다루고 있다.더불어 실제 유아들의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유아언어·미술·과학·동작교육 등의 다양한 실기과목도 함께 다루어진다.

직무 관련 역량
가정관리학과
유치원 1, 2급 정교사(국가전문)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10년간 유치원교사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유치원교사는 2015년 약 57.1천 명에서 2025년 약 59.1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2천 명(연평균 0.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정부의 무상보육 정책과 유치원교사 1인당 학생 수 감소와 유치원 취원율의 증가추세에 따라 유치원교사 수는 2010년 36,461명에서 2015년 50,998명으로 약 39.9% 증가하였다(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여성의 사회적 참여 증가로 가정 내에서 전적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것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고, 유치원 아동에 대한 무상교육, 저소득층 유아에 대한 교육비 지원, 종일반 운영지원 등 유아교육 분야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확대되고 있어 만성적인 저출산에도 불구하고 전문적인 능력을 갖춘 유치원교사의 수요는 어느 정도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이러한 현상을 반영하여 유치원 취학 적령인구 중 실제 원아 수를 의미하는 취원율은 2009년 39.5%에서 2015년 49.4%로 늘었다.선진국에 비하여 우리나라 유치원 취원율은 아직도 낮은 수준이고, 양질의 유아교육을 위해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2009년 15.2명에서 2015년 13.4명으로 감소되고 있어 유치원교사의 수요는 어느 정도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반면, 지속적인 저출산의 영향으로 유치원 아동의 절대수가 감소하다 2009년을 저점으로 다시 반등하고 있다.유치원생수는 2010년 약 538천 명에서 2013년 약 658천 명으로 급증한 뒤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2015년 현재 682천 명을 기록하고 있다.저출산 추세가 최근 완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고 유치원에 입학하는 학생의 수도 증가세로 반전되어 유치원교사의 취업자 수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지식

교육 및 훈련(92)
상담(85)
심리(82)
의사소통과 미디어(78)
철학과 신학(76)

업무환경

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97)
이미지
평판
재정에 미치는 영향력(97)
건강 및 안전에 대한 책임(91)
사람들과 직접 접촉(89)
외부 고객 대하기(88)

성격

사회성(74)
타인에 대한 배려(68)
성취
노력(64)
신뢰성(63)
정직성(60)

흥미

예술형(Artistic)(94)
사회형(Social)(84)

직업가치관

이타(91)
성취(74)
다양성(60)
타인에 대한 영향(58)
자율(55)

업무활동 중요도

사람들을 훈련, 교육(97)
사람들을 배려, 돌봄(93)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81)
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81)
팀 구성, 협업 촉진(79)

업무활동 수준

사람들을 배려, 돌봄(92)
사람들을 훈련, 교육(91)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74)
사람들에게 조언, 상담(72)
대인관계 유지(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