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사

의료기사·치료사·재활사 | 보건·의료직

comment

인지, 행동, 정서 및 성격 등에 있어서 정신과적 장애가 있는 개인 또는 집단을 대상으로 심리평가를 실시하여 장애의 원인 및 치료 방안을 파악하고 심리적 기법을 활용하여 치료한다.

임상심리사가 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대학에서 임상심리학을 전공하고 석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후에 추가적으로 수련 또는 경력을 쌓아야 임상심리사로 활동할 수 있다.정신보건임상심리사는 학사학위 이상의 소지자(혹은 임상심리가 2급 소지자)가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일정기간 수련을 마친 후에 활동할 수 있다.

직무 관련 역량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1,2급(국가기술)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임상심리사의 고용은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최근 사회의 경쟁적 분위기, 빈부의 격차, 개인주의의 심화 등의 이유 때문에 개인의 심리 및 정서 그리고 대인관계 문제에 대한 상담과 치료의 필요성이 더 증가하고 있다.학교 폭력, 우울증, 그리고 직장 내 따돌림 등 스트레스 및 심리적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어 이를 다룰 만한 전문가가 필요하다.또한, 4차 산업혁명이 확대되면 양극화가 가속화되어 소외되고 심리적으로 어려운 사람이 더 증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임상심리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지식

심리(95)
상담(92)
의료(76)
사회와 인류(65)
경영 및 행정(62)

업무환경

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97)
의사결정 권한(92)
외부 고객 대하기(90)
사람들과 직접 접촉(87)
이미지
평판
재정에 미치는 영향력(84)

성격

타인에 대한 배려(69)
사회성(61)
성취
노력(58)
정직성(57)
스트레스 감내성(57)

흥미

사회형(Social)(98)
탐구형(Investigative)(94)

직업가치관

지적 추구(91)
이타(90)
신체활동(88)
심신의 안녕(88)
개인지향(85)

업무활동 중요도

정보의 의미 해석(93)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2)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91)
의사 결정, 문제점 해결(91)
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1)

업무활동 수준

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3)
사람들을 배려, 돌봄(92)
사물, 행동, 사건 파악(92)
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2)
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