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지도사

사회복지사 및 상담사 | 교육·법률·사회복지·경찰·소방직 및 군인

comment

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이용시설, 청소년상담시설, 청소년보호시설 등 청소년 관련 단체에서 청소년의 잠재능력과 학업성취향상, 일반 및 요보호청소년의 사회적응능력 강화를 위한 각종 수련활동, 문화 및 교류활동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 지도 및 교육을 한다.

청소년지도사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대학의 관련 학과에서는 청소년상담, 청소년심리, 청소년정책론, 청소년문제, 청소년인권과 복지 등의 과목을 배우게 된다.2급은 청소년관련 분야 학사 학위 취득자 및 전문대학 졸업자로 실무경력이 3년 이상인 자, 그리고 3급은 청소년관련 분야의 전문대학 학위 취득자 및 고등학교 졸업자로 실무경력이 3년 이상인 자 등이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직무 관련 역량
사회복지학과
청소년상담사 1, 2, 3급(국가전문)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청소년지도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이다.「2015-2025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상담전문가 및 청소년지도사는 2015년 약 32.8천 명에서 2025년 약 40.8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8.0천 명(연평균 2.2%)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여성가족부의 청소년백서에 의하면 청소년 상담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청소년의 상담을 지원하는 시설 수는 2010년 83개소에서 2015년 119개소로 5년간 43.4% 증가하였고, 청소년 상담시설의 상담 건수 역시 2010년 4,017천 건에서 2015년 4,753천 건으로 5년간 18.3% 증가하였다.청소년지도사 자격증 취득자도 증가하고 있다.취득자 수는 2010년에 3,295명에서 2015년 4,125명으로 5년간 25.2% 증가하였다.국가 차원에서도 청소년 관련 상담소, 지원센터, 보호시설 등을 확충하고 이들 시설에 전문인력을 의무 배치하도록 하고 있고 획일화된 공교육에서 얻을 수 엇는 청소년활동을 지도하는 청소년지도사에 대한 수요는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청소년 시설, 정신보건상담센터 등 공공부문 상담시설 외 사적 시장도 성장하고 있다.우리나라에 비해 상담산업이 발전된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화가 진행되고 있어 산업특성, 수요계층에 따른 상담사들이 세분되며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지식

상담(90)
심리(84)
철학과 신학(78)
교육 및 훈련(76)
사회와 인류(75)

업무환경

연설, 발표, 회의하기(92)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81)
다른 사람과의 접촉(77)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76)
의사결정 가능성(75)

성격

사회성(81)
리더십(79)
적응성
융통성(73)
독립성(69)
협조(69)

흥미

사회형(Social)(91)
탐구형(Investigative)(87)

직업가치관

심신의 안녕(93)
이타(88)
신체활동(86)
애국(82)
자율(80)

업무활동 중요도

사람들을 훈련, 교육(100)
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9)
사람들을 배려, 돌봄(98)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7)
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96)

업무활동 수준

사람들을 훈련, 교육(100)
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9)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9)
사람들을 배려, 돌봄(99)
대인관계 유지(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