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교통관제사
항공기·선박·철도 조종사 및 관제사 | 영업·판매·운전·운송직
comment
열차의 안전 운행을 위해 종합사령실에서 운행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열차의 운행을 감시 및 통제한다.
철도교통관제사는 철도운영기관에서 근무를 하다가 관제 관련 교육·훈련을 받은 후 실무수습기간을 거쳐 될 수 있었다.2016년 11월 현재 철도관제 교육훈련기관은 한국철도공사 인재개발원, 서울메트로 인재개발원, 부산교통공사 BTC 아카데미, 우송대학교 디젯철도아카데미 등 4개 기관이 지정되어 있다.그러나 「철도안전법」이 개정됨에 따라 2017년 7월부터는 관제자격증명시험에 합격하여 안전한 업무 수행을 할 수 있는 역량을 입증한 사람만이 철도관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철도교통관제사가 되기 위해서는 국토교통부가 지정한 지정교육기관에서철도관제 관련 교육을 500시간 이상 받고, 철도관련법·철도관제시스템 운영 등에 관한 학과시험과 열차운행계획, 열차 운행선 관리, 비상 시 조치 등의 실기시험에 합격해야 한다.철도교통 관련 학과에서 철도관제 관련 과목을 이수하면 자격취득에 유리하다.
- 직무 관련 역량
- 지상교통공학과철도교통관제사
-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철도교통관제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철도 수송의 경우 물류량은 감소하고 있으나 수송 인원은 증가하고 있다.KTX 등 고속철도가 도입되고 이용객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지하철 노선 신설 및 연장 등으로 인해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최근 열차 탈선, 정전 및 지하철 내 안전 사고 등의 발생과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뤄지지 않아 추가사고로 이어지는 등 안전 운행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2017년 7월부터는 관제자격증명시험에 합격하여 안전한 업무 수행을 할 수 있는 역량을 입증한 사람만이 철도관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기관사로 취업하여 관제사가 되는 경로 외에 자격 취득 후 관제사로의 입직이 가능하게 되어 취업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