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무용수
창작·공연 전문가(작가, 연극 제외)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comment
관객을 대상으로 대중음악에 맞추어 춤을 춘다.
대중무용수가 되기 위해서는 대중무용 사설강습소에서 교육을 받거나, 공개오디션을 통해 백댄서로 선발되면 된다.무엇보다도 타고난 재능이 중요하며, 많은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직업인 반면 많은 시간의 연습량이 요구되므로 강인한 체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따라서 화려한 외형에 쏠리기보다는 프로근성을 가지고 꾸준한 연습을 통해 대중무용수로서의 자질을 익혀야 한다.
- 직무 관련 역량
- 무용학과
-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대중무용수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여가시간이 늘어나고 문화예술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면서 공연을 찾거나 직접 참여하는 사람들도 늘어났다.일반인들의 춤에 대한 관심 증가로 각종 댄스대회나 놀이공원, 호텔, 클럽 등에서의 댄스 관련 공연에 대중무용수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이들의 활동영역도 예전에 비해 확대된 편이다.한편, 사설무용단의 경우 수시로 실력을 갖춘 사람을 채용하고 있으며, 특히 긴 연습 생활 때문에 중도 포기자도 많아 대체인력 수요가 많다.하지만 고용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방송사 무용단의 경우도 인원이 한정되어 있고, 그 인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큰 일자리 증가는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지식
예술(95)
철학과 신학(86)
역사(80)
사회와 인류(71)
화학(69)
업무환경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100)
균형을 유지하기(100)
걷거나 뛰기(100)
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100)
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99)
성격
혁신(71)
리더십(69)
성취
노력(66)
협조(66)
인내(65)
흥미
예술형(Artistic)(100)
탐구형(Investigative)(90)
직업가치관
심신의 안녕(90)
자율(75)
성취(64)
다양성(60)
경제적 보상(57)
업무활동 중요도
일반적인 신체활동(99)
팀 구성, 협업 촉진(89)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9)
창조적 생각(87)
대인관계 유지(85)
업무활동 수준
일반적인 신체활동(99)
팀 구성, 협업 촉진(95)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3)
대인관계 유지(90)
창조적 생각(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