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객실승무원

항공기·선박·열차 객실승무원 | 미용·여행·숙박·음식·경비·청소직

comment

항공기에 탑승한 승객에게 기내에서 제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항공기객실승무원이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다.전공에 제한을 두고 있지는 않지만 항공비서과, 항공운항과 등 관련학과를 전공하면 유리하다.관련 학과에서는 항공업무론을 비롯해 객실업무개론, 항공운송실무, 객실서비스실무, 기내식음료개론, 항공서비스매너, 항공영어회화, 객실서비스영어, 토익 등 현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을 교육한다.채용 시 영어 등 외국어 능력이 중요한 평가요소가 되므로 반드시 응시기준 이상의 공인성적을 획득해야 하고 회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항공기객실승무원은 경쟁률이 매우 높은 편이다.응시자격 조건은 회사마다 차이가 있는데, 대한 항공의 경우 2년제 이상의 대학 졸업자 또는 예정자로 키 162cm(남자는 172cm), 교정시력 1.0 이상이어야 하며, 최근 2년 이내의 토익 성적이 990점 이상이어야 한다.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어야 하며 2년간의 인턴 객실승무원으로 근무 후 심사를 통해 정규직으로 전환된다.아시아나항공의 경우도 2년제 대학 이상의 학력과 나안 시력 0.2 이상, 교정시력 1.0 이상을 요구하며, 암리치(뒤꿈치를 들고 한 쪽 팔을 뻗어 나오는 최대의 길이) 220cm 이상 등 기내안전 및 서비스 업무에 적합한 신체조건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남자의 경우에는 병역이 면제되거나 마칠 경우 지원 가능하다.하지만 이 같은 응시자격 기준은 해마다 조금씩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관심 있는 회사의 채용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할 필요가 있다.

직무 관련 역량
국제지역학과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항공기객실승무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생활수준이 점점 높아지면서 여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주5일근무제로 여행과 레저산업의 규모가 커지고 있다.또한 해외여행이 늘고, 세계와의 교류활성화로 기업에서는 출장 등으로 해외에 갈 일이 많아졌다.여객수송량 및 여객기 보유량의 증가 등은 항공기객실승무원의 수요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우리나라의 항공운송여객은 2015년 기준으로 총 약 8,941만 명(국제항공운송여객 약 6,143만 명, 국내항공운송 여객 약 2,798만 명)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세계적 규모의 항공국가이다.또한, 국토교통부 ‘운항통계’의 항공기 등록대수를 살펴보면, 2008년 449대에서 2015년 724대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에서는 2019년에는 1,000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였다.이는 항공기객실승무원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최근에는 국내에 취항하는 외국 항공사들이 현지인 채용을 적극 추진하고 있어 항공기객실승무원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기혼자에게도 승무원자격을 부여함으로써, 미혼자만 일할 수 있다는 기존의 항공기객실승무원에 대한 인식이 평생직장이 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점차 바뀌어가고 있다.몇 년 전부터 등장한 저가 항공사 역시 항공기객실승무원의 수요를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꼽힌다.저가항공사에서 근무하는 항공기객실승무원의 경우 규모가 큰 항공사보다 임금은 낮은 편이지만 취업처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항공기객실승무원의 고용에 긍정적이다.또한 항공기 객실승무원은 서비스업 중 고연봉을 받는 직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회적 지위도 얻을 수 있고 다양한 문화권을 접할 수 있는 기회의 창이라는 인식이 있어 앞으로 항공서비스 산업은 더욱 발전할 것이다.과거에는 결혼과 함께 일을 그만두는 경우가 많아 이를 대체하기 위한 일자리가 생겼지만, 최근 항공기객실승무원도 장기근무를 하는 추세로 바뀌고 있어 신규 고용창출에는 약간의 부정적 요소로 볼 수 있다.

지식

운송(91)
고객서비스(88)
지리(80)
영어(78)
의료(76)

업무환경

고지대 작업(100)
움직이는 기계(98)
위험한 상태 노출(98)
온몸 진동 노출(98)
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98)

성격

정직성(72)
사회성(70)
리더십(70)
타인에 대한 배려(69)
인내(68)

흥미

사회형(Social)(76)
진취형(Enterprising)(73)

직업가치관

이타(88)
경제적 보상(86)
인정(68)
지적 추구(56)
심신의 안녕(28)

업무활동 중요도

사람들을 배려, 돌봄(99)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98)
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93)
팀 구성, 협업 촉진(92)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91)

업무활동 수준

사람들을 배려, 돌봄(98)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97)
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93)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93)
대인관계 유지(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