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의사
의사, 한의사 및 치과의사 | 보건·의료직
comment
의료 부분의 일반적인 질환, 장애, 상해 및 질병을 진료·예방한다.
의사가 되려면 의과대학을 졸업한 후, 의사국가면허시험에 합격해야 한다.또한 의과대학이 아닌 다른 일반학과를 졸업한 후 총 4년 과정의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여 의무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의사국가면허시험을 통과해도 의사가 될 수 있다.2017년 기준으로 의학을 공부할 수 있는 곳은 10개의 국립대학(서울대학교 등)과 31개의 사립대학(고려대학교 등)이 있다.의과대학에서는 6년(의예과 2년 및 의학과 4년) 동안 해부학, 조직학, 병리학, 예방의학, 의공학, 약리학, 감염학, 임상실습 등을 배운다.2017년 1월에 시행된 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의사면허시험에 3,336명이 응시하여 3,095명(92.8%)가 합격하였다.특정분야를 전문으로 하지 않고 진료하는 의사를 ‘일반의사’라 한다.의사면허를 취득한 후에 인턴과정 1년과 레지던트과정 4년(예방의학과, 결핵과, 가정의학과 3년)의 과정을 거쳐 각 분야의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한 사람을 ‘전문의사‘라고 한다.전문의사는 총 26과의 전문분야(산부인과, 안과, 이비인후과, 피부과, 비뇨기과, 신경과 등)로 구분되어 있으며, 전문의 시험에 응시하는 사람의 비율은 높아지고 있다.
- 직무 관련 역량
- 의학과의사(국가전문)
- 일자리현황
-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일반의사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일반의사는 전문의 면허 없이 활동하며 최근 전문의의 수요가 많은 상황에서 일반의를 희망하는 사람들은 줄고 있어 고용의 감소도 예상된다.또한 의과대학에서 배출되는 인력이 과거해 비해 늘어나 공급과다 현상을 보이고 있고, 치열한 의료시장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전문의 면허 취득이 필수조건이 되고 있다.때문에 기존 경력이 많은 일반의사를 중심으로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다만, 전문의의 면허를 받기 위해 인턴이나 레지던트로 수련하며 진료를 보는 의사도 일반의사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일부 증가세가 보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