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연출가

연극·영화·방송 전문가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comment

연극을 연출하기 위해 선정된 작품을 해석하고 연극배우들의 연기와 공연을 지휘한다.

연극연출자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의 관련 학과나 사설학원 등에서 연극 제작 등에 관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는 것이 유리하다.연극연출자의 경우 대학의 연극영화과에서 연출전공을 하여 이론과 실무에 대한 전문교육을 받고 진출하는 경우가 많다.연극연출자의 경우 조감독이나 보조연출자로 5~10년간 경험을 쌓아 감독이나 연출자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하지만, 점차 대학, 또는 해외유학을 통해 이론뿐만 아니라 시나리오 작업에서부터 촬영, 편집 등에 대한 것을 전문적으로 공부하는 사람들의 진출이 늘고 있으며, 동아리활동, 단편영화제작 등 연출경험을 미리 쌓는 사람도 많다.

직무 관련 역량
광고·홍보학과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연극연출가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삶의 질 향상, 여가문화에 대한 관심 증대 등으로 연극 공연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연극연출자는 다른 매체의 연출자와 달리 환경적인 영향을 비교적 덜 받고 고용이 꾸준한 편인데, 그 이유는 연극 연출에 대한 소신을 가지고 진출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지역적 특색을 반영한 연극축제 활성화, 테마별 특성화된 소규모 공연 증가와 함께 순수예술에 대한 관객들의 호응도도 좋아지고 있으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공연에 대한 지원도 늘어나고 있어 향후 연극연출가의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그러나 인기연극배우가 등장하는 연극에 관객이 몰리면서 연극계에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하게 일어나 재정적 곤란을 겪는 극단과 연극연출자의 어려움은 지속될 것이며, 연극연출자의 고용 역시 크게 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식

예술(98)
영업과 마케팅(84)
철학과 신학(80)
사회와 인류(78)
인사(77)

업무환경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100)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98)
건강 및 안전에 대한 책임(97)
연설, 발표, 회의하기(96)
결과에 대한 책임(94)

성격

혁신(76)
리더십(72)
독립성(68)
사회성(64)
협조(63)

흥미

예술형(Artistic)(100)
탐구형(Investigative)(92)

직업가치관

다양성(98)
자율(94)
지적 추구(85)
성취(79)
타인에 대한 영향(74)

업무활동 중요도

팀 구성, 협업 촉진(100)
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100)
대인관계 유지(100)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9)
부하 직원들에게 업무 안내, 지시, 동기부여(99)

업무활동 수준

대인관계 유지(100)
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100)
팀 구성, 협업 촉진(100)
부하 직원들에게 업무 안내, 지시, 동기부여(100)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