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

보육교사 및 기타 사회복지 종사자 | 교육·법률·사회복지·경찰·소방직 및 군인

comment

보육교사는 공공, 사설 어립이집 등 탁아기관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양육의 보충적 역할을 하고 유아의 발달과정에 맞는 교육을 지도한다. 보육사(보모)는 영아원, 아동입양위탁시설, 정서장애아시설 등 아동복지시설이나 사회복지관 부설 보육시설, 개인가정 등에서 수용 또는 위탁 유아들을 돌보는 업무를 수행한다.

보육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보육 관련 교과목(17과목, 51학점)을 대학에서 이수하거나 대학원 또는 보육교사 관련 교육훈련시설(보육교사교육원)의 과정을 이수하여 보육교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보육교사 자격 관리 사무국에서 제시한 교과목과 관련한 학점을 이수하면 보육교사 2급 자격 취득이 가능하다.석사를 졸업하고 1년 이상 보육업무 경력이 있거나, 2급으로 3년 이상의 보육업무 경력을 가지면 1급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보건복지부가 2016년 3월부터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시행하면서 보육교사 양성 과정에 대면교육이 강화됐다.기존 17개 교과목 중 보육교사론, 아동권리와 복지, 놀이지도, 언어지도, 아동음악, 아동수학지도, 아동안전관리,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보육실습 등 9개 과목을 대면교과목으로 지정하고 출석수업과 실습시간을 기존 4주 160시간에서 6주 240시간으로 80시간 확대했다.

직무 관련 역량
가정관리학과
보육교사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보육교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2015-2025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보육교사는 2015년 약 282.1천 명에서 2025년 약 347.8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65.7천 명(연평균 2.1%)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한국은 2014년 기준 합계출산율 1.21명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 수준을 보이고 있다.정부는 저출산 대책으로 무상보육, 양육수당 지원 등 보육정책을 통해 출산율을 높이는 정책을 펼쳐왔다.인구절벽과 생산가능 인구의 감소와 같은 심각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보육교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보육시설도 다양해져 국공립어린이집 외에 가정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 부모협동어린이집(자체적으로 구성하여 운영되는 어린이집) 등 다양한 시설이 생겨났으며 해당 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도 증가하고 있다.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의 상승 및 맞벌이 가구 증가, 핵가족화에 따른 보육에 대한 욕구 증가 등으로 기본 보육 외에 야간보육, 24시간 보육, 시간대별 보육 등 보육의 형태가 다양화되고 있다.보육정책 및 보육에 대한 수요 증가 등이 작용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저출산으로 인한 보육아동 수의 감소때문에 현재와 같은 증가세가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 보육교사 취업자의 증가폭은 다소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식

역사(78)
상담(75)
철학과 신학(71)
사회와 인류(69)
예술(68)

업무환경

건강 및 안전에 대한 책임(93)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93)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91)
걷거나 뛰기(90)
외부 고객 대하기(90)

성격

정직성(60)
타인에 대한 배려(57)
리더십(56)
인내(54)
책임과 진취성(50)

흥미

사회형(Social)(94)
예술형(Artistic)(88)

직업가치관

이타(94)
애국(80)
타인에 대한 영향(71)
성취(67)
인정(62)

업무활동 중요도

사람들을 배려, 돌봄(99)
사람들을 훈련, 교육(96)
대인관계 유지(95)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91)
상사, 동료, 부하직원과 소통(74)

업무활동 수준

사람들을 배려, 돌봄(99)
사람들을 훈련, 교육(89)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87)
대인관계 유지(85)
일반적인 신체활동(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