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사무원

회계·경리 사무원 | 경영·사무·금융·보험직

comment

회계사의 지휘 하에 사업체의 재무 거래에 대해서 분기, 전기, 결산 등의 업무를 수행하여 회계사의 업무를 지원한다.

회계사무원이 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전문대졸 이상의 회계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필요하다.기업의 거래사항의 기록과 정리, 제조원가 산출,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등의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회계 관련 통계, 재무 및 결산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회계관련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회계업무의 일부가 전산화되어 있어 전산프로그램의 활용능력이 있으면 취업을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다.

직무 관련 역량
경영학과
AT[Accounting Technician](국가공인 민간)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회계사무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2015-2025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회계사무원은 2015년 219천 명에서 2025년 260천 명으로 41.7천 명(연평균 1.8%)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업종을 가리지 않고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 회계의 투명성은 매우 중요하며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에서도 마찬가지이다.세무 및 재무, 회계관련 기준들이 점차 까다로워지고 국제적인 표준도입도 잇따르면서 회계를 전문으로 담당할 사무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또한, 국제회계기준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회계처리를 하고 있어 전문적 지식을 갖춘 회계사무원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일 것으로 예상된다.매년 약 1천여 명의 회계사와 650여 명의 세무사가 배출되는 등 회계전문 인력의 시장진출이 늘고 있어서 회계사무원의 고용도 이와 함께 증가할 수 있다.그리고 최근 인공지능(AI)기술의 발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은 가운데 특히 회계 분야에 인공지능이 고용감소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자금과 관련한 위험관리, 회계감사관련 업무 등 업무경력에 기반하여 의사결정이 필요한 업무에는 인공지능 도입이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의견도 많다.그러나 회계 관련한 시스템과 제도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기업 환경도 급변하고 있어서 회계사무원은 스스로 전문성을 쌓는 노력이 필요하다.

지식

경제와 회계(97)
경영 및 행정(90)
법(84)
사무(81)
산수와 수학(79)

업무환경

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99)
앉아서 근무(91)
다른 사람과의 접촉(87)
자동화 정도(87)
이메일 이용하기(87)

성격

정직성(79)
꼼꼼함(77)
신뢰성(75)
자기통제(68)
분석적 사고(63)

흥미

관습형(Conventional)(90)
진취형(Enterprising)(34)

직업가치관

신체활동(90)
고용안정(77)
이타(74)
성취(67)
애국(64)

업무활동 중요도

행정, 관리 업무(99)
정보 작성, 기록(98)
자원 관리(97)
컴퓨터 업무(97)
정보 처리(95)

업무활동 수준

정보 작성, 기록(97)
행정, 관리 업무(97)
컴퓨터 업무(96)
자원 관리(96)
정보 처리(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