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작물재배원
작물재배 종사자 | 농림어업직
comment
각종 과수작물을 심고 경작하여 수확하고 포장하는 일을 한다.
과수작물재배자가 되는 데 특별한 교육이나 훈련이 요구되지는 않지만, 기본적으로 과수작물 재배법, 농기계사용법 등을 알고 있어야 하므로 농업계 고등학교의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농업계 고등학교의 농업기계과, 농업유통정보과 등에서는 농업 전반에 대한 교육을 비롯하여 농업정보화 환경을 위한 전산 관련 교육을 실시한다.최근 농촌에 정착하여 농업에 종사하려는 도시인을 위해 사회단체가 귀농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한다.
- 직무 관련 역량
- 원예기능사(국가기술)
- 일자리현황
- 딸기재배 직원 채용
과학딸기농장
주6일근무 정규직
월급 220만원
농업생산(주작목:사과) 농산물 유통 직원 모집에덴영농조합법인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220만원 ~ 230만원
딸기 재배 및 수확우담농부 딸기
주6일근무 정규직
시급 10030원
토마토 재배원 모집농업회사법인 그로존(주)
주6일근무 정규직
시급 10030원
토마토 재배인원 채용정규직
시급 10030원 ~ 10030원
방울토마토 작업자강성문
주6일근무 기간제
시급 10030원
시설작물 재배원을 모집합니다.농업회사법인 그레프 주식회사
주6일근무 기간제
시급 10030원
포도재배원 모집최선호
주6일근무 정규직
시급 10030원
토마토 수확 인원 모집이도윤
주6일근무 기간제
시급 10030원
-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과수작물재배자의 고용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전반적인 농업침체, 해외 농산물개방에 따른 국내농산물의 경쟁력약화, 농업의 기계화 및 시설자동화, 농가소득 감소 등으로 농업에 종사하는 인력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세부적으로 보면 선진국에 비해 농업생산기반이 약한 데다가 FTA(자유무역협정) 등 농산물시장의 개방 확대로 국내 농업생산은 더욱 위축될 가능성도 크며 국민 1인당 연간 과일소비량, 경지면적, 전업농가 수도 계속 감소하고 있어 과수작물재배자의 수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