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무가

창작·공연 전문가(작가, 연극 제외)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comment

방송, 무대 등에서 공연하기 위한 춤(무용)을 고안하고, 창작한 춤을 대중무용수 및 무용가에게 가르친다.

안무가가 되기 위해서는 예술계 중·고등학교와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무용과를 전공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들 중에는 어린 시절부터 무용교육을 받으면서 일찍 진로를 결정한 사람이 많다.대학의 무용과에서는 전공 실기수업과 공연활동을 통해 표현력과 창작능력을 기르고, 이론수업을 통해 무용의 학문적 탐구방법을 배우게 된다.이 외에 사설 무용교육기관을 통해서도 관련 교육을 받을 수 있다.한편, 안무가는 몸으로 예술적 감동과 의지를 표현할 수 있는 능력, 극의 스토리와 메시지를 잘 표현해낼 수 있는 능력, 창의력 등과 풍부한 감정표현 능력, 신체표현 능력 등이 필요하다.

직무 관련 역량
무용학과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안무가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무용 공연 횟수가 줄면서 일자리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는 상황이다.순수예술 측면의 공연은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점차 뮤지컬이나 방송프로그램 출연을 위한 안무 기회도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다.또한 안무 영역도 일부 유명 안무가에게 일이 편중되는 편이어서 신입 안무가가 활동할 무대는 더욱 협소해지고 진입을 위해서는 뛰어난 실력을 갖춰 경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다만,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정책들이 마련되면서 무용 공연 및 공연의 헤외 진출 기회가 다시 활성화될 전망이어서 부정적인 고용전망이 다소 해소돼 당분간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지식

예술(97)
철학과 신학(86)
교육 및 훈련(80)
역사(77)
디자인(76)

업무환경

균형을 유지하기(97)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5)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90)
서서 근무(90)
규칙적인 근무(90)

성격

혁신(78)
리더십(77)
독립성(67)
사회성(67)
적응성
융통성(66)

흥미

예술형(Artistic)(100)
탐구형(Investigative)(87)

직업가치관

다양성(97)
성취(87)
인정(87)
타인에 대한 영향(81)
심신의 안녕(75)

업무활동 중요도

일반적인 신체활동(93)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0)
창조적 생각(77)
사람들을 훈련, 교육(73)
사물, 행동, 사건 파악(72)

업무활동 수준

일반적인 신체활동(85)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83)
사람들을 훈련, 교육(76)
창조적 생각(70)
사람들에게 조언, 상담(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