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우

연극·영화·방송 전문가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comment

외국영화를 우리말로 더빙하고, 텔레비전·라디오 등의 각종 프로그램에서 목소리 연기를 한다.

성우가 되기 위해서는 지상파와 케이블 방송국에서 매년 혹은 격년으로 실시하는 공채에 합격해하는데, 방송사에 따라 고졸 이상, 전문대졸 이상으로 학력 및 연령제한을 두기도 한다.시험형식은 방송사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1, 2차에 걸친 실기와 면접을 통해 채용되며 주어지는 대본의 연기, 해설 등을 실제로 해보는 것으로 치러진다.대학에서 연기를 전공하거나 연기 동아리 활동을 하는 등 연기경험을 쌓거나 성우학원에서 발성, 호흡, 낭독 등의 전문적인 훈련을 받고 진출하고 있다.또 성우지망생들이 모임을 만들어 발음교정, 대본연습 등의 공부를 하면서 공채시험을 준비하기도 한다.성우는 자신의 목소리에 잘 어울리는 캐릭터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연기력을 바탕으로 영화나 연극에 출연하기도 한다.

직무 관련 역량
방송·연예과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성우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지속적인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증대로 문화콘텐츠의 경제적 가치가 커지고 있다.이와 함께 성우는 목소리로 연기를 하는 고유의 영역으로 자리를 잡은 상태이다.하지만 성우의 주요 활동무대인 수입영상물 더빙 같은 역할으로 타 분야 연기자나 가수 등이 진입해 활동하는 대신, 성우의 활동범위는 확장적이지 않아서 성우의 활동영역은 전반적으로 축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또한 현재까지 많은 성우들이 배출되었고, 추가 수요인력도 크게 많지 않은 편이어서 고용이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한국성우협회에서도 회원자격을 각 방송국의 전속 성우를 일정기간 거친 자로 하고 있어서 앞으로도 방송국에 입사하려는 취업경쟁은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지식

예술(89)
국어(86)
심리(79)
의사소통과 미디어(76)
철학과 신학(71)

업무환경

치열한 경쟁(100)
규칙적인 근무(97)
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89)
마감시간(85)
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81)

성격

사회성(67)
자기통제(65)
독립성(61)
적응성
융통성(61)
혁신(58)

흥미

예술형(Artistic)(100)
탐구형(Investigative)(76)

직업가치관

다양성(100)
신체활동(99)
지적 추구(93)
이타(91)
타인에 대한 영향(89)

업무활동 중요도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77)
정보 수집(75)
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75)
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73)
창조적 생각(70)

업무활동 수준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79)
업무 계획, 우선순위 결정(77)
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70)
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69)
창조적 생각(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