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사

약사 및 한약사 | 보건·의료직

comment

한약의 조제, 제조, 유통부터 품질관리, 연구개발 업무를 수행한다.

한약사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의 한약학과를 졸업하고 한약사 국가면허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2017년 현재 국내에 한약학과가 개설된 곳은 3곳(경희대, 원광대, 우석대)이다.약학과는 6년제(2+4년 체제) 학제이지만 한약학과는 4년으로 교육과정이 편성되어 있다.한방병리학, 한방생리학, 한방약학제학, 한약약리학, 한약한문 등을 배운다.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연 1회 시행하고 있는 한약사국가면허시험에 합격한 후 약국이나 한방병원 등에서 한약사로 활동할 수 있다.2017년 시행된 한약사 면허시험에서 121명이 응시하여 96명(합격률 79.3%)이 합격하였다

직무 관련 역량
약학과
한약사(국가전문)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한약사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약사에 비해 수가 적은 한약사는 일반 대중에게 인지도가 낮고 이용하는 사람의 수가 적어 현재보다 더 많은 수가 증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다만, 웰빙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아토피, 비만, 산후부종, 스트레스 감소 등을 위한 자연주의 치료방법이 각광받게 되었고, 이는 한의학 수요증대로 나타나고 있다.또한 의료비 경감을 위한 한약의 보험범위 확대와 휴대 및 복용을 간소화하기 위한 한약제제(정제캡슐) 개발 등 한의학의 대중화가 이뤄지고 있는 점은 한방 의료의 수요 증대를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다.

지식

의료(92)
생물(72)
상담(70)
사회와 인류(63)
고객서비스(59)

업무환경

의사결정 가능성(98)
의사결정 권한(93)
건강 및 안전에 대한 책임(92)
주말 및 공휴일 근무(86)
사람들과 직접 접촉(83)

성격

정직성(60)
독립성(57)
리더십(57)
타인에 대한 배려(55)
신뢰성(52)

흥미

사회형(Social)(94)
관습형(Conventional)(43)

직업가치관

심신의 안녕(96)
고용안정(93)
타인에 대한 영향(92)
지적 추구(91)
경제적 보상(88)

업무활동 중요도

사람들을 배려, 돌봄(93)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81)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80)
자원 관리(79)
조직 외부인과 소통(72)

업무활동 수준

사람들을 배려, 돌봄(94)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82)
자원 관리(80)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76)
정보 작성, 기록(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