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운전원

자동차 운전원 | 영업·판매·운전·운송직

comment

노선버스(시내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좌석버스 마을버스 등), 관광버스를 운전하거나 학교, 기업체 등의 비영업용 버스를 운전한다.

버스운전원이 되는 데 학력제한은 없으며 1종 대형자동차운전면허를 소지해야 한다.사설 운전학원에서 운전면허취득을 위한 필기 및 실기교육을 받을 수 있다.노선 여객자동차 운송사업(시내, 농어촌, 마을, 시외버스 등) 및 전세버스 운송사업 또는 특수여객자동차운송사업의 사업용 버스 운전업무에 종사하려는 운전자는 버스운전자격증을 취득하여야 한다.버스운전자격증은 1종 대형 혹은 보통 운전면허 소지자로 운전경력이 1년 이상인 자에 한해 시험응시자격이 주어진다.운전면허 소지자를 대상으로 버스운전자격시험은 필기시험으로만 이뤄진다.

직무 관련 역량
자동차운전면허 제 1종 대형(국가전문)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버스운전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서울시를 비롯한 대도시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실시됨에 따라 시도의 재정지원으로 시내버스가 운영되고 있다.그러나 보조금을 부정사용하는 것에 대한 처벌규정 및 시도지사의 버스운영에 대한 권한을 강화하는 법안이 없어 시도지사에게 버스 노선 폐지 및 감차 등의 권한을 갖도록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을 개정하였다(2013.8).또한 국토교통부가 전세버스의 수급조절을 위해 신규 등록 및 증차를 제한하고 있어 향후 전세버스와 시내버스의 규모는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서울, 경기, 대구, 부산 등 지하철 운행노선이 연장·추가되고 자동차 보유가구의 증가, 경전철의 완공, KTX의 확장 등 기타 운행수단이 활성화되는 점은 버스운전원의 고용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반면 시내버스의 경우에도 버스전용차로 확대, 교통환승제 등 대중교통을 지원하는 정책은 지속되고 있고, 프리미엄 고속버스를 도입하여 서비스를 고급화 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점은 버스운전원의 고용 감소 폭을 줄여줄 것으로 전망된다.

지식

운송(95)
지리(86)
기계(65)
영업과 마케팅(61)
건축 및 설계(59)

업무환경

움직이는 기계(100)
비좁은 업무 공간(100)
오염물질 노출(99)
온몸 진동 노출(99)
소음 노출(98)

성격

신뢰성(45)
자기통제(41)
사회성(39)
정직성(38)
스트레스 감내성(38)

흥미

현실형(Realistic)(86)
사회형(Social)(63)

직업가치관

개인지향(95)
고용안정(49)
신체활동(39)
이타(37)
경제적 보상(34)

업무활동 중요도

차량, 기계, 장비 작동(100)
기계장치 제어(99)
기계장비 유지 보수(94)
물건 조종, 운반(93)
일반적인 신체활동(88)

업무활동 수준

차량, 기계, 장비 작동(100)
기계장치 제어(97)
물건 조종, 운반(95)
기계장비 유지 보수(94)
일반적인 신체활동(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