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제조원
의복 제조원 및 수선원 | 설치·정비·생산직
comment
고객의 주문에 따라 저고리, 치마, 두루마기, 마고자, 버선 등의 한복을 제조한다.
한복제조원이 되기 위한 학력이나 연령의 제한은 없다.사설학원이나 직업훈련기관에서 3개월에서 1년 정도 양복이나 양장, 한복 제작방법을 배운 후 취업하거나 자영하게 된다.전문대 이상에서 한국의상디자인학과, 의상디자인과 등의 의상관련학과를 졸업하면 취업하기에 좀 더 유리하다.취업에 있어서는 자격증보다 한복을 제작하는 솜씨와 숙련도가 더욱 중요하다.대개 1년 이상의 경력을 쌓아야 숙련도를 인정받을 수 있다.한복제조원은 디자인에서부터 재단, 제조까지 의복제조의 모든 업무를 혼자 수행한다.따라서 예술적인 감각과 창의력이 요구되며, 꼼꼼한 바느질작업을 해야하는 만큼 끈기와 인내심이 필요하다.
- 직무 관련 역량
- 한복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 일자리현황
-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한복제조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한복은 일반적으로 평상복보다는 예복의 기능으로 결혼식이나 회갑연 등 중요한 행사에서 꾸준히 사용되어 왔다.하지만 착용이 불편하고 고가여서 실용성과 대중성이 떨어진다는 인식과 한복의 고급화와 예복화가 진행되면서 한복업체가 큰 규모로 대형화되고 지역적으로 밀집화되고 있다.서양식 복장의 유행으로 양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복제조 기능연마에 뛰어드는 사람도 줄어드는 추세이며, 또한 규모가 작은 영세업체가 대부분이었던 한복업체들이 도태되고 있어서 한복제조원의 고용은 그리 밝지 않는다.
지식
디자인(92)
예술(80)
고객서비스(72)
상품 제조 및 공정(67)
상담(66)
업무환경
의사결정 가능성(100)
재택근무(99)
의사결정 권한(99)
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8)
정확성, 정밀성 유지(98)
성격
꼼꼼함(65)
인내(60)
성취
노력(57)
타인에 대한 배려(51)
정직성(49)
흥미
예술형(Artistic)(92)
현실형(Realistic)(84)
직업가치관
자율(78)
개인지향(76)
고용안정(61)
애국(51)
인정(50)
업무활동 중요도
자원 관리(99)
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5)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94)
창조적 생각(94)
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0)
업무활동 수준
자원 관리(95)
창조적 생각(91)
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1)
인사 업무(90)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