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전문가

소프트웨어 개발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comment

이용자가 실제 세계와 유사한 느낌을 갖도록 3D모델링 및 VRML 등의 기술을 이용해 3차원 가상현실시스템을 개발한다.

가상현실전문가는 대학, 전문대 또는 직업전문학교에서 컴퓨터소프트웨어나 전산, 정보처리 등을 공부한 후에 관련업체에 취업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비전공자의 경우에도 실무능력에 따라 취업과 성공이 결정되기 때문에 학력이나 전공에 상관없이 소프트웨어개발에 흥미를 갖고 독학으로 성공한 사람들도 많다.취업하게 되면 보통 2∼3년 정도 실무경험을 쌓은 후에 본격적으로 프로그래머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또한 이들에게는 디자인의 개념, 과학에 대한 기초적 지식 및 창의력, 인내력 등이 필요하며 컴퓨터프로그램을 이해하고 현실과 가상을 연결하는 노력등이 있어야 한다.기본적으로 소프트웨어의 분석·설계·구현·테스트 등에 관한 이론적 지식과 실무 경험이 필요하다.

직무 관련 역량
사진·영상예술학과
정보처리기사, 시각디자인기사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가상현실전문가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2010년 이후 세계 AR VR 시장이 빠르게 성장해왔으며, 2020년까지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이다.최근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가상현실 기술은 그 발전속도와 문화적 확산 및 경제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가상현실 기술은 군사분야 외에도 교육분야, 로봇장치를 이용한 원격 수술, 진단, 심리치료 등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특히 엔터테인먼트 게임 부문에서 대중적인 관심을 받으며 확산될 전망에 따라 (증강) 가상현실 엔터테인먼트 부문에 투자가 집중되는 상황이다.또한 4차산업혁명의 핵심적인 요소 기술로 (증강)가상현실의 기술이 널리 확산되면서 현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지식

컴퓨터와 전자공학(94)
산수와 수학(85)
영어(77)
공학과 기술(77)
디자인(76)

업무환경

재택근무(99)
이메일 이용하기(88)
앉아서 근무(88)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86)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84)

성격

혁신(64)
독립성(55)
책임과 진취성(52)
꼼꼼함(52)
분석적 사고(51)

흥미

탐구형(Investigative)(90)
예술형(Artistic)(80)

직업가치관

개인지향(96)
경제적 보상(94)
다양성(94)
성취(93)
심신의 안녕(90)

업무활동 중요도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8)
창조적 생각(98)
컴퓨터 업무(97)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4)
사람들에게 조언, 상담(87)

업무활동 수준

창조적 생각(98)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2)
컴퓨터 업무(91)
사람들에게 조언, 상담(89)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