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바이정비원

운송장비 정비원 | 설치·정비·생산직

comment

오토바이 제품별 특성을 파악하고, 엔진 및 동력전달장치, 바퀴, 브레이크 계통, 연료주입부 등을 정비·점검·수리한다.

오토바이 정비원이 되려면 공업계 고등학교나 직업전문학교, 기능대학 등에서 자동차 및 기계 분야를 전공하면 유리하다.오토바이와 자동차가 다르긴 하지만 기본적인 작동원리가 비슷하기 때문에 자동차에 대한 정비지식이 있는 사람이 오토바이 정비를 쉽게 배울 수 있다.전반적인 기계에 관한 이해와 지식 그리고 정비경험이 축적되어야 오토바이의 문제를 정확하고 빠르게 진단하고 해결하는 오토바이 정비 전문가가 될 수 있다.오토바이를 만드는 제조회사에서도 일부 오토바이 정비 희망자에게 체계적 훈련을 시키기도 한다.관련 국가기술자격에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자동차정비기능장·기사·산업기사·기능사가 있다.

직무 관련 역량
자동차검사기능사,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오토바이정비원의 고용은 감소할 것이다.우리나라는 레저용으로 오토바이를 이용하기 어려운 지리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오토바이가 위험하다는 인식, 자전거 전용도로의 확산, 지속적인 대기 오염의 확산 등으로 레저용이 아닌 생계형의 오토바이가 주로 판매된다.점점 더 기계가 발달하여 고장율이 적어지고 기름만지는 3D업종이라는 인식때문에 이 일을 배우려는 사람도 많지 않아 오토바이 정비원은 향후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새로운 전자식 기종의 오토바이들이 출시되어 새롭게 정비기술을 갖추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전문성 있는 오토바이 정비원만이 경쟁력이 있을 것이다.

지식

운송(87)
기계(83)
고객서비스(74)
공학과 기술(73)
영업과 마케팅(66)

업무환경

온몸 진동 노출(100)
오염물질 노출(99)
비좁은 업무 공간(99)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8)
위험한 장비 노출(98)

성격

스트레스 감내성(60)
적응성
융통성(58)
꼼꼼함(57)
성취
노력(55)
인내(55)

흥미

현실형(Realistic)(72)
탐구형(Investigative)(45)

직업가치관

개인지향(65)
자율(47)
지적 추구(36)
타인에 대한 영향(30)
경제적 보상(29)

업무활동 중요도

기계장비 유지 보수(99)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9)
차량, 기계, 장비 작동(99)
기계장치 제어(97)
자원 관리(95)

업무활동 수준

차량, 기계, 장비 작동(99)
기계장비 유지 보수(98)
기계장치 제어(97)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6)
물건 조종, 운반(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