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인·호이스트운전원

물품이동장비 조작원(크레인·호이스트·지게차) | 영업·판매·운전·운송직

comment

고층건축물, 토목건축물 등의 건설공사에서 흙, 모래, 골재, 목재, 철재 등의 자재와 건설장비를 견인·인양·이동·적재하는 기중기를 운전한다.

크레인 및 호이스트운전원으로 일하기 위해서는 이들 장비를 조종·운전하는 것을 배워야 하는데 고등학교의 관련 학과, 직업전문학교, 사설학원 등에서 건설기계, 기중기, 지게차 관련 이론과 실습을 배울 수 있다.이들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기종별로 관련 자격을 취득해야 한다.

직무 관련 역량
기중기운전기능사(국가기술)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크레인 및 호이스트운전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건설 경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크레인 및 기중기는 건설 현장 및 물류센터 등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건설 수주 및 화물 물류량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는다.국내 건설수주는 2008년 1,039,068억 원 이후 감소세를 지속하여 2013년 778,847억 원으로 감소한 뒤 2015년에는 저금리와 주택경기 회복세로 인해 역대 최고치인 1,343,377억 원으로 증가하였다.그러나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향후 국내 건설경기 하락 가능성」(이홍일·박철한, 2016)에 따르면, 국내 건설경기는 2017년 하반기부터 하락하여 2018년 이후에 큰 폭으로 침체될 것으로 전망된다.또한 정부는 급증하는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하기 위해 신규 분양물량을 조절할 것이라는 내용을 담은 정책방안을 발표한 바 있어 신규주택 건설이 감소할 전망이다.그리고 정부의 2016년 SOC 관련 예산은 20조 7천억 원으로 2015년 본예산 대비 9,917억 원 감소한 것처럼 정부의 SOC에 관련 예산을 점차 감소할 전망이어서 건설경기의 전망은 밝지 않다.한편, 국토교통부,대한건설정책연구원(2015)에서 발간한 「건설기계 수급정책 연구」에 따르면, 향후 5년간 기중기의 수요는 2015년 9,296대에서 2019년 9,703대로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기중기운전원의 인력증가폭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지식

운송(97)
기계(74)
안전과 보안(64)
교육 및 훈련(41)
의사소통과 미디어(38)

업무환경

움직이는 기계(100)
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100)
소음 노출(99)
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99)
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99)

성격

독립성(59)
인내(57)
적응성
융통성(57)
자기통제(56)
혁신(53)

흥미

현실형(Realistic)(66)
예술형(Artistic)(17)

직업가치관

고용안정(72)
다양성(65)
경제적 보상(63)
인정(63)
이타(60)

업무활동 중요도

차량, 기계, 장비 작동(98)
기계장비 유지 보수(92)
물건 조종, 운반(91)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8)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6)

업무활동 수준

차량, 기계, 장비 작동(97)
기계장비 유지 보수(93)
물건 조종, 운반(93)
기계장치 제어(88)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