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주가
창작·공연 전문가(작가, 연극 제외)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comment
작곡되어 있는 음악을 오케스트라 및 악단의 일원으로서 또는 혼자서 연주한다.
연주가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의 관현악과, 기악과, 성악과, 피아노과, 음악과, 작곡과 등의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관련 학과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청소년기가 되기 전에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여 꾸준한 연습을 해야 한다.이 때문에 음악가 중에는 예술계 중고등학교로 진학하는 사람이 많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대부분 사설학원이나 개인레슨을 통해 교육을 받는다.음악가 중에는 이탈리아를 비롯해 유럽으로 유학을 다녀오는 경우도 많다.지휘자는 지휘만 전공으로 한 사람도 있지만 대개 기악을 전공하다가 지휘 분야를 공부해서 지휘자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폭넓은 음악 감상을 통해 음악가로서의 소양을 지속적으로 키워나가야 하며 각종 음악 콩쿠르에 참여하여 입상 경력을 쌓아놓는 것도 중요하다.서양음악을 많이 다루게 되고 오페라나 예술가곡이 대부분 유럽에서 발달하였기 때문에 영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 외국어 실력을 키워놓으면 음악 활동에 도움이 된다.
- 직무 관련 역량
- 실용음악과
-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연주가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여가 활동이 증가하고, 문화예술에 대한 평가가 높아지면서 음악을 즐기거나 배우려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하지만 장기적인 경기불황은 순수음악 공연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또한 전자음악의 발전과 음원으로 음악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면서 연주가가 공연무대에 설 기회는 줄어들 전망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연주가를 비롯한 음악가는 다른 예술 분야와 마찬가지로 본인의 원하는 진로를 개척하기 위해 선택하는 직업이라는 점에서 음악과 예술에 대한 인간의 갈망이 사라지지 않는 한 음악가로 활동하려는 사람들은 꾸준히 생겨날 것으로 보인다.또한 음악가는 로봇이나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에 의해 대체될 수 없는 창의성 영역의 직업이며, 온라인 플랫폼 및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개인이 쉽게 음악콘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할 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특히, 우리나라 국민은 어느 문화예술 분야보다 음악을 사랑하고 즐기기 때문에, 장기적인 경기 침체에도 음악산업의 발전은 꾸준한 편이다.또한 정책적으로 문화예술의 지원이 꾸준히 뒷받침될 예정이어서 앞으로도 음악가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