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토제품생산기계조작원

비금속제품 생산기계 조작원 | 설치·정비·생산직

comment

점토를 사용해서 도기, 자기, 벽돌, 블록, 판석, 기와, 타일, 파이프, 도관 및 배관연결구류 등을 제조하는 기기를 조작한다.

일반적으로 특별한 학력이나 자격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공업계 고등학교나 전문대학에서 관련분야를 전공하면 업무수행에 도움이 된다.점토제품생산기조작원은 보통 공업계 고등학교나 전문대학 등에서 재료, 요업 등과 관련하여 교육을 받고 업체에 취업하는 방법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숙련공의 보조원으로 취업한 후에 경력과 기능을 쌓아 전문가로 성장하는 방법이 있다.요즘은 자동제어 등을 위하여 컴퓨터 조작 등에 익숙하여야하므로 전문대 등에서 이를 포함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면 취업에 유리하다.주로 도자기제조나 요업제품 제조업체에서 근무한다.

직무 관련 역량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점토제품생산기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통계청의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현황을 보면, 종사자 수가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비금속광물가공 및 제품제조 관련 생산시설의 자동화와 대형화로 노동집약적인 단순기능직에 대한 인력 감축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무엇보다도 최근 정부의 부동산규제정책과 더불어 전반적인 건설경기 침체로 유리, 타일, 위생도기, 시멘트, 벽돌, 콘크리트 등 건축 관련 비금속광물가공제품에 대한 수요가 대폭 줄어들어 점토제품생산기조작원의 수요가 급감하고 있다.이에 따라 향후에도 인력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식

상품 제조 및 공정(88)
기계(79)
디자인(78)
건축 및 설계(66)
공학과 기술(65)

업무환경

위험한 상태 노출(93)
온몸 진동 노출(93)
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93)
움직이는 기계(92)
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91)

성격

인내(58)
성취
노력(55)
책임과 진취성(53)
독립성(53)
타인에 대한 배려(53)

흥미

예술형(Artistic)(93)
탐구형(Investigative)(86)

직업가치관

고용안정(61)
개인지향(59)
성취(54)
자율(36)
인정(33)

업무활동 중요도

기계장비 유지 보수(90)
물건 조종, 운반(85)
일반적인 신체활동(82)
기계장치 제어(80)
차량, 기계, 장비 작동(78)

업무활동 수준

기계장비 유지 보수(91)
물건 조종, 운반(89)
차량, 기계, 장비 작동(84)
기계장치 제어(82)
일반적인 신체활동(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