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상품개발자

금융·보험 전문가 | 경영·사무·금융·보험직

comment

금리변동률, 영업비용과 회사이익, 사회변화에 따른 금융상품에 대한 일반인의 수요를 고려하여 금융상품을 개발한다.

금융상품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대학에서 경제학, 경영학, 보험학, 금융학 등을 전공한 후 금융회사의 상품개발부서에서 근무한다.금융상품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외 경제흐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대상별, 목적별 상품개발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최근에는 핀테크가 활성화되면서 인터넷이나 모바일전용 금융상품의 개발과 출시가 늘어나고 있고, 대학생, 중장년, 자영업자 등 다양한 대상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상품이 세분화되고 있어서 고객특성을 파악하여 차별화된 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해지고 있다.또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객관적이고 맞춤형 상품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면서 데이터분석능력을 갖추고 있다면 업무에 도움이 된다.

직무 관련 역량
경영학과
보험계리사 CFP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금융상품개발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경제환경의 불확실성, 다양한 금융정책, 인구의 고령화, 고객들의 다양한 수요는 새로운 금융상품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예전에는 획일화된 상품을 개발하여 판매했다면 고객의 눈높이가 높아지면서 다양화된 고객금융상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고, 인공지능의 도입, 컴퓨터의 고도화로 인해 고객의 유형을 파악하고 세분하여 맞춤형 금융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금융업계의 경쟁력으로 대두될 전망이다.이에 따라 금융상품개발원의 경우 기존 은행이나 카드사에서의 수요보다 핀테크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는 전문인력의 수요가 있을 수 있다.

지식

경제와 회계(92)
법(86)
산수와 수학(84)
영업과 마케팅(84)
경영 및 행정(84)

업무환경

공문, 문서 주고받기(93)
자동화 정도(93)
앉아서 근무(88)
이메일 이용하기(88)
이미지
평판
재정에 미치는 강도(84)

성격

분석적 사고(75)
신뢰성(66)
혁신(66)
스트레스 감내성(65)
사회성(64)

흥미

진취형(Enterprising)(86)
탐구형(Investigative)(77)

직업가치관

신체활동(90)
경제적 보상(80)
심신의 안녕(77)
성취(73)
다양성(63)

업무활동 중요도

정보 수집(93)
컴퓨터 업무(84)
정보의 의미 해석(82)
사람들에게 조언, 상담(81)
정보 처리(81)

업무활동 수준

사람들에게 조언, 상담(87)
컴퓨터 업무(87)
정보 수집(85)
행정, 관리 업무(85)
조직 외부인과 소통(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