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전기공

전기공 | 설치·정비·생산직

comment

도면에 따라 열차, 선박, 항공기 등 산업용 전기 설비를 설치하고 전기배선, 송전, 전압 등 구성요소를 시험하며 모터, 발전기 등을 유지·보수·시험·설치 및 수리한다.

산업전공이 되기 위한 학력제한은 없지만, 전기회로나 배선도면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 수준을 요구한다.실제 산업전공들 대부분은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이거나 공공 및 민간 직업훈련기관의 전기 관련과를 졸업한 경우가 많다.요즘은 2~3년제 대학 이상의 학력으로 전공이 되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다.전력 및 전기 시설이 점점 대용량화·고속화하고 있기 때문에 늘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여야 하며 전기에 관한 이론적 지식과 함께 현장 실무 경험이 반드시 필요하다.

직무 관련 역량
전기공학과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분야), 광산보안기능사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산업전기공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산업전기공은 산업시설이나 전기장치가 필요한 운송장비 등의 전기를 담당하게 되는데, 무인자동화 설비가 증가하고, 업무의 디지털화, 경비 절감을 위한 인원감축 등의 영향으로 산업전공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식

기계(78)
공학과 기술(73)
물리(71)
건축 및 설계(68)
컴퓨터와 전자공학(66)

업무환경

위험한 상태 노출(99)
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98)
고지대 작업(97)
움직이는 기계(94)
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94)

성격

사회성(47)
적응성
융통성(45)
타인에 대한 배려(42)
독립성(41)
정직성(38)

흥미

관습형(Conventional)(71)
현실형(Realistic)(31)

직업가치관

고용안정(93)
이타(76)
자율(69)
애국(69)
성취(57)

업무활동 중요도

전자장비 유지 보수(99)
기계장비 유지 보수(96)
차량, 기계, 장비 작동(95)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5)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0)

업무활동 수준

전자장비 유지 보수(99)
기계장비 유지 보수(97)
차량, 기계, 장비 작동(95)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2)
기계장치 제어(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