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미화원 및 재활용품수거원

청소·방역 및 가사 서비스원 | 미용·여행·숙박·음식·경비·청소직

comment

건물, 야적장, 거리 및 기타 공공장소에서 쓰레기를 수거하거나 청결하게 유지하며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환경미화원이 되기 위해 특별한 자격 및 학력, 나이 등의 조건은 없다.다만, 각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채용하는 환경미화원은 체력시험과 필기시험, 면접 등을 거쳐 선발된다.청소경험이나 가사경험이 있는 중장년층 여성들이 많이 활동하는 편이며, 고용주가 신원이 확실한 사람들을 고용하고자 하기 때문에 여성인력개발센터나 여성훈련기관에서 청소방법 등의 관련 교육을 받고 알선을 받아 일하는 경우가 많다.

직무 관련 역량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환경미화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미세먼지 등으로 대기오염이 심각해지고 환경적인 문제로 아토피나 피부문제가 발생하는 등 건강이 위협받게 되면서 주변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또한 깨끗한 도시환경과 쾌적한 생활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매년 각 지방자치단체와 환경 단체들이 노력하고 있어 환경관련 예산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따라서 환경미화원의 일자리는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그러나 상당수 지방자치단체에서 민간위탁 대행업체에 청소용역을 주고 있어 지방자치단체에 직접 소속되어 근무하는 환경미화원의 일자리 증가는 크게 기대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이며, 대부분 용역업체를 통해 고용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그러나 청소 부분의 기계화가 상당히 진행됨에 따라 소요인력이 축소되고 최저임금인상으로 인하여 인건비 부담이 높아지면서 기업들이 비용절감을 위하여 청소인력에 대한 크게 축소하고 있기도 하다.이처럼 위생에 대한 개념이 중요해지면서 청소인력이 중요해짐과 동시에 가계화 진행에 따라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하거나 장기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식

운송(73)
지리(54)
철학과 신학(46)
고객서비스(36)
안전과 보안(35)

업무환경

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100)
오염물질 노출(100)
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100)
걷거나 뛰기(99)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9)

성격

타인에 대한 배려(33)
협조(23)
적응성
융통성(21)
사회성(20)
독립성(17)

흥미

현실형(Realistic)(37)
사회형(Social)(20)

직업가치관

고용안정(52)
다양성(46)
애국(45)
경제적 보상(23)
인정(19)

업무활동 중요도

물건 조종, 운반(94)
일반적인 신체활동(87)
차량, 기계, 장비 작동(74)
기계장치 제어(49)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34)

업무활동 수준

물건 조종, 운반(93)
일반적인 신체활동(90)
차량, 기계, 장비 작동(75)
기계장치 제어(52)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