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공학시험원

섬유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comment

섬유소재, 원단, 염료, 염색 등의 지식을 바탕으로 재료의 품질, 유해성, 성분 등을 시험·분석하고 결과보고서를 작성한다.

섬유 및 염료시험원이 되려면 섬유회사나 연구소 등에 입사하여 화학섬유의 구조적 특성을 알기 위해 화학적·물리학적 시험을 이해하고 그 과정을 반복하며 데이터를 축적해야 한다.따라서 섬유공학과 같은 관련학과의 대졸 이상의 학력을 요구한다.

직무 관련 역량
섬유공학과
섬유공학 시험원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섬유 및 염료시험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이다.섬유산업은 과거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을 주도해왔다.그러나 지속적인 인건비 상승, 생산비 증대, 생산설비 과잉 등으로 인해 섬유산업 전반은 쇠락을 길을 걷고 있으며 국제경쟁력이 약화됨에 따라 수출도 감소세에 있다.하지만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필수적인 의복보다는 패션으로서의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또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광섬유,기능성섬유 등 특수섬유에 대한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환경기준 강화로 연구분야의 인력이 역할이 중요하게 되었다.따라서 연구분야에서 섬유 및 염료시험을 담당하는 인력의 일자리는 크게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일상생활에서 섬유의 유해성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신소재를 필요로 하는 기업이 더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섬유 및 염료 시험원의 수요가 올라갈 수 있다.그러나 섬유 산업이 사양산업에 속하고 IT기기의 도움을 받으면 업무량이 줄 수 있기 때문에 섬유 및 염료시험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식

화학(95)
물리(63)
공학과 기술(62)
상품 제조 및 공정(59)
기계(49)

업무환경

위험한 상태 노출(98)
오염물질 노출(98)
정확성, 정밀성 유지(96)
균형을 유지하기(95)
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95)

성격

적응성
융통성(45)
인내(44)
분석적 사고(44)
꼼꼼함(43)
성취
노력(42)

흥미

탐구형(Investigative)(86)
현실형(Realistic)(74)

직업가치관

개인지향(88)
지적 추구(85)
신체활동(84)
성취(83)
애국(80)

업무활동 중요도

창조적 생각(76)
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71)
컴퓨터 업무(69)
정보, 자료 분석(67)
정보 수집(65)

업무활동 수준

창조적 생각(82)
정보 수집(80)
컴퓨터 업무(79)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77)
정보 작성, 기록(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