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조기 및 편직기조작원

섬유 제조·가공 기계 조작원 | 설치·정비·생산직

comment

직조와 편직 및 기타 물질과 직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관련 장비를 조작한다. 이들은 섬유제품 제조업체나 의류 제조업체에 고용되어 있다.

직조기 및 편직기조작원이 되기 위해서는 전문계 고등학교나 직업훈련기관에서 관련 학과를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다.자격증이 꼭 필요하지는 않으나 섬유 관련 자격증이 있으면 취업 시 우대받을 수 있다.직조기 및 편직기조작원은 대부분 채용 후 사내 직무교육을 받거나 숙련자를 보조하면서 기능을 습득한다.이들은 섬유제품 제조업체나 의류 제조업체에서 근무한다.

직무 관련 역량
섬유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직조기 및 편직기조작원의 고용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생산시설의 자동화 및 대형화와 생산라인의 해외이전 등이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직조기 및 편직기조작원이 주로 종사하는 섬유제품 제조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섬유제품제조업, 봉제의복 및 모피제품제조업, 가죽, 가방 및 신발제조업의 업체 수와 종사자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어 관련 산업이 정체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국내의 섬유제조업체들은 생산시설 및 공장시스템을 무인 자동화하여 소수의 인력으로 제품생산이 가능한 체제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 생산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또한 국내 인건비가 상승함에 따라 생산단가에 있어 경쟁력이 떨어져 인건비가 싼 중국이나 베트남 등으로 생산공장을 이전하고 있어 국내고용에 부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특히 봉제, 원사제조, 제직 및 염색가공과 같은 전통적인 섬유산업은 해외 현지생산의 확대로 국내에서 비중이 점점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앞으로 생산시설의 자동화 및 대형화와 생산라인의 해외이전 등은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섬유산업에서 청년층 등의 신규인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이·전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체일자리가 많아 취업은 비교적 쉬울 것이다.

지식

상품 제조 및 공정(85)
기계(78)
공학과 기술(52)
디자인(51)
화학(47)

업무환경

소음 노출(99)
위험한 장비 노출(99)
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99)
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9)
보호장비 착용(96)

성격

꼼꼼함(30)
독립성(28)
리더십(27)
성취
노력(24)
적응성
융통성(24)

흥미

현실형(Realistic)(86)
관습형(Conventional)(82)

직업가치관

애국(30)
개인지향(28)
자율(26)
고용안정(24)
심신의 안녕(19)

업무활동 중요도

기계장치 제어(95)
물건 조종, 운반(94)
기계장비 유지 보수(85)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2)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2)

업무활동 수준

기계장치 제어(96)
물건 조종, 운반(95)
일반적인 신체활동(88)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7)
기계장비 유지 보수(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