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누 및 화장품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화학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comment

비누, 화장품 등 생활재 관련 화학공정 및 장비를 연구·설계·개발하며, 플랜트의 운영 및 유지 관리를 감독한다. 주로 화장품 제조 업체의 연구소, 개발실에 소속되어 있다.

비누 및 화장품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이나 4년제 대학을 졸업해야 한다.연구 및 공정 설계 분야에서 일하려면 관련 분야의 석사 이상의 학위를 갖춰야 한다.관련학과로는 화학공학과, 화학과, 화장품학과가 있으며 이외 생물학, 신소재공학과 등이 있다.화학공학과에서는 수학, 화학, 물리, 생물 등을 기초과목으로 배운 후에 화공 열역학, 유체역학, 열전달, 물질전달, 화학반응공학, 유기공업화학, 화학공학실험, 공업화학실험 등을 배우게 된다.

직무 관련 역량
신소재공학과
화공기사, 산업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비누 및 화장품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선진국의 경기 회복과 저유가는 업체의 수익률을 개선시켜 투자와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중국 경기 둔화와 자급률상승은 국내 화학제품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이중 화장품산업이 주목된다.한류 열풍과 함께 중국 소비자 증가, 인터넷,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소셜커머스시장의 성장, 여성에서 남자와 청소년 등으로 화장품 소비층 확대 등으로 화장품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이에 따라 관련산업에서 종사하는 비누 및 화장품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될 전망이다.

지식

화학(98)
상품 제조 및 공정(91)
생물(90)
영어(79)
법(76)

업무환경

갈등 상황(96)
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95)
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4)
공문, 문서 주고받기(93)
이메일 이용하기(93)

성격

혁신(87)
분석적 사고(75)
꼼꼼함(72)
성취
노력(67)
책임과 진취성(66)

흥미

관습형(Conventional)(80)
탐구형(Investigative)(79)

직업가치관

지적 추구(79)
성취(79)
경제적 보상(77)
다양성(75)
애국(72)

업무활동 중요도

창조적 생각(92)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6)
정보 수집(83)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79)
인사 업무(77)

업무활동 수준

창조적 생각(91)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3)
인사 업무(78)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78)
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