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연구원

생명과학 연구원 및 시험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comment

인체의 생물학적 기능과 작용을 조사·연구하여 의학 및 관련분야에 적용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한다.

의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의·약학계열 등 관련 학과의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다.대학원 과정에서 자신이 관심 있는 세부 전공을 집중적으로 공부하고 연구원이 되면 보통 석사과정의 세부전공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학생 시절 다양한 연구에 참여하여 관련 논문을 저널에 제출하는 등 연구 경력을 쌓는 것이 필요하며, 연구보조원으로 일해보거나 일부 정부출연연구소에서 시행하고 있는 현장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하면 관련 기관의 입직 시 많은 도움이 된다.

직무 관련 역량
생명과학과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의학연구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생명공학은 21세기 경제성장을 주도할 핵심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인류의 당면 과제인 식량, 에너지, 질병 등의 문제를 해결할 대체산업으로서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따라서 생명공학산업의 기반이 되는 각종 기초연구와 응용연구를 수행하는 의학연구원의 일자리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특히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이오 신약 및 장기 분야 등을 견인할 연구 인력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정부부처마다 의학연구원 육성 관련 사업을 진행 중에 있는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바이오헬스 미래 신산업 육성 전략의 일환으로 2017년까지 연구역량을 갖춘 의사 2000명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고, 교육부 또한 의과학 및 생명과학 분야 연구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의사면허와 박사학위를 동시·연계취득하는 의과학자 과정을 마련했다.한편 의학연구원에 의한 기초의학연구를 산업과 연계에 활용성을 높이려면 개별 대학 단위의 교육 프로그램이 아닌 국가적 계획을 통한 투자와 함께 기초의학자로서 진로 선택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을 줄이기 위한 국가적 생애 전 주기 지원 제도가 필요하다.

지식

생물(100)
의료(96)
화학(95)
영어(92)
산수와 수학(87)

업무환경

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100)
의사결정 권한(90)
정확성, 정밀성 유지(90)
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88)
앉아서 근무(86)

성격

혁신(80)
분석적 사고(79)
정직성(78)
독립성(72)
꼼꼼함(68)

흥미

탐구형(Investigative)(85)
관습형(Conventional)(57)

직업가치관

타인에 대한 영향(86)
애국(84)
지적 추구(82)
경제적 보상(82)
고용안정(77)

업무활동 중요도

의사 결정, 문제점 해결(95)
사물, 행동, 사건 파악(94)
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3)
목표, 전략 수립(92)
정보 수집(91)

업무활동 수준

사물, 행동, 사건 파악(94)
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88)
상사, 동료, 부하직원과 소통(84)
정보 수집(82)
정보 처리(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