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원 및 수송원

항공기·선박·철도 조종사 및 관제사 | 영업·판매·운전·운송직

comment

철도신호원은 기지내의 이동차량에 대하여 신호기와 전철기(전기선로전환기)를 조작하여 차량의 위치를 조정한다. 철도수송원은 객차 및 화차를 연결 및 분리하여 정해진 차량 수에 맞추어 한 개의 열차로 만든다. 열차신호원은 역내의 이동 열차의 교통을 통제하기 위하여 신호기 및 전철기를 조작한다. 철도수송원은 철도객차 및 화차의 조성, 연결, 해방, 운전취급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신호원 및 수송원이 되려면 직업전문학교 및 사설학원에서 변전설비, 원자력 전기설비, 철도 기기 등 전기관련 훈련과정을 이수하거나 숙력 전공을 보조하면서 기능을 습득할 수 있다.대학 및 전문대학의 전기제어공학, 전기전자공학, 전자공학, 철도전기제어과 등 관련학과를 나오면 유리할 수 있으며, 자격증으로는 철도신호산업기사, 철도신호기능사 등이 있다.

직무 관련 역량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신호원 및 수송원의 고용은 감소할 전망이다.원활한 철도교통을 도모하기 위하여 철도기관차에 수신호나 깃발신호로 속도나 정지 여부 등을 조정하는 신호원 및 수송원의 고용은 감소할 것이다.신호원 및 수송원이 주로 근무하는 철도공사가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 인원을 지속적으로 감축하고 있다.또한 저비용 항공노선이 많이 생기면서 KTX 이외의 다른 철도들의 운항편수가 감소하고 있다.가장 부정적 영향은 신호원과 수송원이 하는 역할이 점차 자동화(컴퓨터화) 되면서 필요 인력이 감소하고 있다.

지식

운송(91)
지리(91)
고객서비스(85)
안전과 보안(84)
의사소통과 미디어(74)

업무환경

위험한 상태 노출(98)
소음 노출(97)
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94)
균형을 유지하기(93)
사람들과 직접 접촉(93)

성격

타인에 대한 배려(74)
사회성(55)
자기통제(53)
책임과 진취성(53)
인내(51)

흥미

관습형(Conventional)(82)
현실형(Realistic)(69)

직업가치관

심신의 안녕(71)
고용안정(64)
경제적 보상(60)
이타(56)
인정(42)

업무활동 중요도

기계장치 제어(89)
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82)
차량, 기계, 장비 작동(79)
물건 조종, 운반(77)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76)

업무활동 수준

기계장치 제어(90)
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87)
팀 구성, 협업 촉진(87)
물건 조종, 운반(87)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