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시스템운영자
데이터·네트워크 및 시스템 운영 전문가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comment
정보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관리·운영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제반 업무를 수행한다.
정보시스템운영자로 일하려면 각종 컴퓨터 운영체제(OS)와 OS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 설치와 운영, 보안, 데이터베이스 등 시스템운영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기본적으로 갖춰야 한다.전문대학 이상에서 관련 학문을 전공하거나 사설교육기관에서 관련 교육을 받고 취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직무 관련 역량
- 공학교육과네트워크관리사(국가공인 민간)
-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정보시스템운영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정보시스템운영자는 2015년 약 74천 명에서 2025년 약 83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9천 3백 명(연평균 1.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 자료에 의하면, 2014년 기준으로 정보시스템운영자가 근무할 것으로 예상되는 컴퓨터시설관리업 사업체는 350개소로 2008년 216개소에 비해 62% 증가하였고, 관련 산업의 종사자는 2008년 3,625명에서 2014년 6,206명으로 71.2%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정보시스템운영자는 IT 기반의 사회의 원활히 운영과 문제 해결을 위해 보이지 않는 곳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모바일 통신 기기 확대, 유무선 네트워크 연계, 산업의 IT화 등으로 서버, 네트워크 등 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인력의 역할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e-비지니스가 확대되고 스마트폰 사용자 확대, SNS 활성화, 각종 기기의 자동화·디지털화로 정보시스템의 규모가 점점 커질 것으로 보인다.이러한 환경에서 정보시스템의 고장이나 장애는 막대한 피해를 가져올 수 있어 각 기관에서는 24시간 정보시스템을 관리하는 등 품질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이러한 전체적인 흐름은 정보시스템운영자의 고용 증가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한편 컴퓨터시스템 개발의 발전으로 안정성이 높아지고 있고, 시스템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계속 개발되고 있어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또한 규모가 큰 기관에서는 자체 인력을 채용하지만 최근 들어 별도의 통합 데이터센터를 통해 시스템을 유지·보수하고 시스템통합(SI)업체에 외부용역을 주거나 관련 업체로부터 인력 파견을 받는 등 전반적으로 근무 조건이 열악해지고 있는 추세이다.최근 인터넷상의 서버를 통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 등을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일시에 해결하게 된 것은 특정 기관내 상주하는 정보시스템운영 인력의 수요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