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납창구사무원

금융·보험 사무원 | 경영·사무·금융·보험직

comment

금전의 수납, 환전 및 지불 또는 우편서비스와 관련하여 은행, 우체국, 신용금고, 새마을금고, 기타 유사금융기관 등에서 고객을 대상으로 관련 업무를 처리한다.

출납창구사무원이 되기 위해서는 상업계 고등학교나 대학의 경제, 경영, 회계, 세무 등의 학과를 졸업 후 진출한다.또는 창구업무를 위해 은행텔러나 펀드투자상담사, 증권투자상담사, 파생상품투자상담사, 투자자산운용사 등의 금융자격증을 요구하는 곳도 있다.전반적인 금융상담이 이루어지는 창구로써 경제분석 능력이 필요하며 세무지식과 관련된 교육의 필요성이 늘고 있다.예전에는 금융관련사무원으로 채용하여 창구에 배치하였으나 최근에는 출납창구업무만을 전담하는 인력을 별도로 채용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직무 관련 역량
경영학과
은행텔러[CBT](비공인 민간)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출납창구사무원의 고용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경기침체는 금융권의 비용절감전략을 유도하고 있고 이에 따라 영업점포 축소, 인력감축 등이 늘어나고 있어 대부분 영업점포를 중심으로 종사하는 출납창구사무원 역시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2017 금융보험산업인력현황보고서(금융보험산업 인적자원개발위원회)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2012년 대비 국내 영업점포는 은행(595개), 보험(894개), 증권(446개) 등 1,875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금융기관입장에서 비용절감차원에서 영업점포를 줄이고 있고 은행 어플리케이션 가입을 적극 독려하고 있어서 단순히 출납, 대출 등을 담당하는 직무종사자는 향후 급격한 감소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특히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고 모바일을 통해 지급, 결제, 송금 등의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이 늘어나는 것은 출납창구사무원의 고용감소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향후에도 핀테크의 발전과 은행의 수익 보전을 위해서 영업점포는 지속적으로 감소할 전망이며 영업점 없이 온라인네트워크만으로 영업을 하는 인터넷전문은행의 등장은 은행서비스의 큰 변화를 견인할 것이다.또한 출납창구사무원의 경우 별도의 인사관리시스템을 두고 계약직위주로 채용하는 등 그동안 안정적이고 양질의 일자리로 인식되던 금융업계 종사자의 일자리에도 변화를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식

경제와 회계(87)
상담(82)
고객서비스(81)
산수와 수학(79)
사무(72)

업무환경

자동화 정도(100)
이미지
평판
재정에 미치는 영향력(98)
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97)
마감시간(97)
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96)

성격

정직성(78)
꼼꼼함(73)
사회성(71)
신뢰성(68)
자기통제(64)

흥미

관습형(Conventional)(95)
진취형(Enterprising)(93)

직업가치관

신체활동(79)
이타(62)
지적 추구(49)
경제적 보상(47)
고용안정(43)

업무활동 중요도

행정, 관리 업무(97)
컴퓨터 업무(94)
상사, 동료, 부하직원과 소통(91)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90)
협상, 갈등 해결(86)

업무활동 수준

행정, 관리 업무(96)
컴퓨터 업무(88)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87)
상사, 동료, 부하직원과 소통(86)
협상, 갈등 해결(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