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그맨 및 코미디언

연극·영화·방송 전문가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comment

관객 및 시청자의 즐거움을 위해 방송의 코미디 프로그램이나 공연장에서 익살스러운 대사나 행동으로 연기한다.

개그맨 및 코미디언이 되기 위해서 요구되는 학력이나 전공 등에 제약은 없다.무엇보다 연기력이 뒷받침되어야 하기 때문에 예술고등학교나 대학에서 연기를 전공하거나 사설 교육기관의 연기자 양성과정에서 훈련을 받고 진출하는 사람이 많다.대학의 관련 학과에서는 발성, 동작, 대사훈련, 연기실습 등을 하며, 영화, 연극, TV드라마 등의 제작과정에 대해서도 공부한다.개그맨은 방송사의 정기공채에 합격하거나 인맥에 의한 추천, 그리고 기획사에서 실시하는 공개오디션을 거쳐 활동하며 연기경험이 있으면 많은 도움이 된다.공채시험에서는 자신이 직접 구성한 콘티로 개그를 해야 하므로 시험 준비와 연습에 상당기간이 소요되기도 한다.개그맨은 자신만의 개성을 잘 살릴만한 다양한 개그 아이디어를 창작할 수 있는 사람이 적합하며, 성우는 정확한 발음과 발성, 호흡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직무 관련 역량
방송·연예과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개그맨 및 코미디언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코미디언이나 개그맨은 각 지상파방송사에서 콘서트 형식으로 진행되는 개그 프로그램이 장수하고는 있지만 예전과 같은 인기를 누리지 못하고 있고, 예능프로그램에 밀려 코미디언 및 개그맨이 설 수 있는 공연무대가 줄고 있다.더욱이 방송사의 공채가 줄고, 같은 연예인으로서 배우, 가수, 개그맨 등의 활동영역의 구분이 무의미해지고 있는 점도 코미디언 및 개그맨의 직업적 입지를 좁히고 있다.

지식

예술(97)
의사소통과 미디어(82)
사회와 인류(66)
국어(63)
영업과 마케팅(62)

업무환경

치열한 경쟁(99)
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98)
규칙적인 근무(98)
연설, 발표, 회의하기(98)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96)

성격

독립성(78)
혁신(69)
리더십(64)
사회성(64)
책임과 진취성(63)

흥미

예술형(Artistic)(97)
진취형(Enterprising)(84)

직업가치관

다양성(85)
성취(58)
심신의 안녕(53)
인정(43)
경제적 보상(43)

업무활동 중요도

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53)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44)
대인관계 유지(21)
물건 조종, 운반(16)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15)

업무활동 수준

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65)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64)
대인관계 유지(18)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15)
물건 조종, 운반(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