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영향평가원

건축·토목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comment

대량의 교통수요를 유발하거나 유발할 우려가 있는 사업을 시행하거나 시설을 설치할 경우 미리 당해사업의 시행 또는 시설의 설치로 인하여 발생할 교통장애 등 교통상의 각종 문제점을 검토·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한다.

교통영향평가원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도시공학, 교통공학, 회계학을 전공하여 활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그 외에 대학에서 건축학이나 조경학, 토목공학 등을 전공한 사람 중에도 도로설계 관련 과목을 이수하거나 관련 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가 있다.교통공학을 전공하면 교통류이론, 교통안전공학, 교통수요분석, 교통계획, 도로설계, 교통공학론, 교통통계학, 대중교통, 물류정보시스템, 교통정책, 교통법규, 항공 및 항만교통학, 교통조사 등을 배우게 된다.교통정보화(지능형 교통시스템) 관련 업체, 관련 연구소, 정부기관, 도시개발공사 등에 취업할 수 있다.

직무 관련 역량
도시·지역학과
교통 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교통영향평가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개발 사업이나 건축 시 일정 규모 이상인 경우에는 교통영향을 평가·분석하여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지자체가 조례 제·개정을 통해 「도시교통정비 촉진법」에 교통영향평가 대상사업 범위를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임에 따라 이 분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그러나 교통영향평가 업무는 주로 건설경기에 영향을 받는데, 향후 국내 건설경기 전망은 밝지 않은 상황이다.현재 우리나라는 도로, 철도, 항만 등의 사회기반시설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결과 사회기반시설이 어느 정도 갖추어진 성숙기에 접어들었고 이는 공공부채 증가를 억제하려는 정부정책과 맞물려 신규 공공건설 투자를 위축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정부는 급증하는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하기 위해 신규 분양물량을 조절할 것이므로 신도시 개발이나 신규 택지개발 사업도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따라서 신규채용 규모는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어 신규취업이 쉽지 않을 것이다.

지식

지리(77)
산수와 수학(76)
공학과 기술(67)
운송(66)
건축 및 설계(66)

업무환경

앉아서 근무(91)
이메일 이용하기(86)
실내 근무(76)
공문, 문서 주고받기(72)
전화 대화하기(72)

성격

혁신(58)
분석적 사고(54)
리더십(52)
적응성
융통성(51)
책임과 진취성(50)

흥미

관습형(Conventional)(73)
탐구형(Investigative)(43)

직업가치관

경제적 보상(89)
애국(87)
지적 추구(82)
개인지향(78)
성취(76)

업무활동 중요도

정보의 의미 해석(98)
사물, 행동, 사건 파악(98)
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8)
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7)
목표, 전략 수립(97)

업무활동 수준

목표, 전략 수립(98)
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8)
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8)
사물, 행동, 사건 파악(97)
의사 결정, 문제점 해결(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