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목공

건설구조 기능원 | 건설·채굴직

comment

건축물 내·외부의 장식, 방음, 실용성 제고 등을 위해 목재구조물 및 고정설치물을 성형·조립·보수·가공한다.

건축목공이 되기 위해 특별한 자격이나 학력이 요구되지 않는다.건축목공은 건축현장에서 숙련공의 보조원으로서 도제식 현장교육을 받으며 일을 배우는 경우가 많다.공업계 고등학교나 직업전문학교에서 실습 위주의 훈련을 받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 시 유리하다.관련 자격으로 건축목재시공기능장, 건축목공산업기사/기능사, 거푸집기능사, 실내건축기능사(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 등이 있다.주로 해당 전문공사업체에 소속되어 일을 한다.숙련공의 조력공(비숙련기능공)으로서 보통 2~10년 정도 경력을 쌓으면 기능공으로 인정을 받는다.시설물유지보수업체나 전문건설업체를 창업할 수도 있다.협동심과 배려심, 꼼꼼함, 책임감이 요구된다.

직무 관련 역량
건축목재시공기능장(국가기술)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건축목공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2015-2025 중장기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건축목공은 2015년 약 174.6천명에서 2025년 약 179.9청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5.3천명(연평균 0.3%) 정도 다소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건축목공의 일자리는 건설경기 전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100%를 상회하는 주택보급률, 저출산·고령화 등에 따른 신규건축 수요 감소, 가계대출 억제와 신규 분양물량 조절 정책 등으로 민간건축시장이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또한 목공 장비가 기계화되고,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에 의한 목제품의 정밀 재단 및 가공이 표준화되어 공장에서 문이나 창, 벽체, 계단 등이 생산되면서 건설현장에서의 생산성이 향상된 것도 건축목공의 인력 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반면에 국내 건설 산업이 2020년을 전후하여 본격적인 성숙 단계에 진입하면서 기존 건축물에 대한 리모델링과 재건축 시장이 성장할 것이고, 침체된 도심을 되살리는 도시재생 사업도 본격화할 것이다.문화와 여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각종 박물관, 미술관, 체험관 등의 문화시설, 숙박시설, 레저시설 등에 대한 건축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건설기능공의 고용시장을 보면, 불안정한 고용, 높은 작업강도, 안전사고 위험 등으로 인해 청년층의 신규 진입이 적고, 기존 근로자는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숙련기술을 익힌 청·장년층은 취업이 비교적 용이할 수 있다.

지식

건축 및 설계(95)
디자인(83)
상품 제조 및 공정(75)
기계(70)
공학과 기술(69)

업무환경

온몸 진동 노출(100)
고지대 작업(100)
위험한 장비 노출(100)
보호장비 착용(98)
소음 노출(98)

성격

혁신(53)
꼼꼼함(49)
적응성
융통성(42)
독립성(42)
성취
노력(40)

흥미

현실형(Realistic)(79)
예술형(Artistic)(28)

직업가치관

다양성(60)
타인에 대한 영향(25)
애국(23)
고용안정(22)
경제적 보상(21)

업무활동 중요도

일반적인 신체활동(87)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4)
물건 조종, 운반(82)
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76)
기계장치 제어(72)

업무활동 수준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3)
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81)
일반적인 신체활동(79)
물건 조종, 운반(75)
차량, 기계, 장비 작동(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