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담배등급원

식품 가공 기능원 | 설치·정비·생산직

comment

원료와 최종 생산품이 표준에 맞는지를 검사하고 등급을 매긴다.

식품 및 담배등급원이 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 정도의 학력이 필요하다.음식료품 가공업체에서의 기기조작원 또는 보조원으로서의 경험이 필요하며, 담배등급 및검사원의 경우, 한국담배인삼공사에서 시행하는 소정의 필기시험에 합격해야 한다.채용후 숙련된 검사원으로부터 현장훈련을 받으면서 기능을 축적한하며, 관련 식음료제품 조작원으로서의 경험이 요청되기도 한다.

직무 관련 역량
식품가공기능사(국가기술)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식품 및 담배등급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식품이나 담배의 원료와 생산품이 표준에 맞는지를 검사하고 등급을 매기는 식품 및 담배등급원은 과실/채소 가공업체, 낙농품 제조업체, 육가공업체, 음료제조업체 등 음식료품 가공과 관련된 업체에 고용되어 있다.담배등급 검사원의 경우, 한국담배인삼공사에 입사 후에 활동할 수 있다.담배의 소비량이 줄고 있고 외국 농수산물의 수입 증가로 식품가공업체가 어려움에 처해 있다.따라서 식품 및 담배 등급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식

식품생산(94)
상품 제조 및 공정(83)
생물(66)
기계(62)
화학(61)

업무환경

균형을 유지하기(92)
걷거나 뛰기(83)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82)
보호장비 착용(81)
서서 근무(78)

성격

정직성(64)
성취
노력(60)
꼼꼼함(54)
자기통제(54)
분석적 사고(53)

흥미

탐구형(Investigative)(87)
관습형(Conventional)(71)

직업가치관

고용안정(81)
심신의 안녕(65)
경제적 보상(64)
신체활동(58)
지적 추구(48)

업무활동 중요도

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8)
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0)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8)
팀 구성, 협업 촉진(87)
전자장비 유지 보수(86)

업무활동 수준

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7)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8)
팀 구성, 협업 촉진(87)
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87)
전자장비 유지 보수(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