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제품설치·수리원

전기·전자 기기 설치·수리원 | 설치·정비·생산직

comment

소비자의 의뢰에 따라 파손된 텔레비전, 냉장고, 세탁기 등 가전제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수리한다.

가전제품설치 및 수리원은 전기, 전자, 통신과 관련한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다.전공자라 하더라도 가전제품을 직접 분해·수리하는 경험이 필요하기 때문에 별도의 교육을 받고 취업하는 경우가 많다.특히 주요 가전회사에서는 자체 직업훈련원을 통해 자사 제품의 A/S를 담당할 가전제품설치 및 수리원을 양성한다.수리원의 이미지가 곧 가전회사의 이미지와 직결되기 때문에 회사에서는 친절과 서비스정신을 많이 강조하고 있다.고객감동을 위한 응대기법과 매너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교육하고 있다.이들은 대부분 가전제품 및 통신기기회사의 서비스센터에 취업하며 그 외에 생산공장 내의 수리부서에서 일을 하거나 전자제품수리업체를 자영하기도 한다.

직무 관련 역량
OCP(외국)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가전제품 설치 및 수리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기술 발전으로 제품 고장률이 낮아지고 있다.또 전자제품의 가격 하락으로 수리보다는 새로 구입하는 경향이 있다.하지만 디지털 텔레비전, 양문형 냉장고, A/V복합제품인 홈씨어터 등 다기능 고가 제품이 지속적으로 개발·보급되고 있으며, 고가 대형가전제품을 중심으로 수리 업무가 증가할 것이다.가전제품은 점차 디지털화, 고급화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서비스망 확충 등으로 이들의 고용은 지속적일 것이다.또한 저출산으로 인해 세대수가 감소하면서 각 세대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수가 줄어들 것이므로 가전제품 설치 및 수리원의 수요도 감소할 것이다.또한, 사물인터넷을 통해 가전제품들이 서로 연결/융합되면서 과거보다 첨단화되어 설치 및 수리가 복잡해졌으나, 자동화로 인해 인력수요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새로운 기술에 대한 이해와 수리 기술 확보가 가전제품설치 및 수리원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된다.반면 힘들고 어려운 일을 기피하는 젊은이들이 현장방문을 해야 하는 가전수리 업무를 3D직업으로 인식하고 있어 젊은층의 이·전직률이 높아 이로 인한 대체수요가 예상된다.

지식

기계(78)
고객서비스(77)
상품 제조 및 공정(67)
상담(65)
컴퓨터와 전자공학(64)

업무환경

온몸 진동 노출(99)
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96)
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94)
다른 사람과의 접촉(91)
사람들과 직접 접촉(89)

성격

적응성
융통성(62)
독립성(57)
타인에 대한 배려(53)
자기통제(53)
정직성(49)

흥미

현실형(Realistic)(98)
탐구형(Investigative)(76)

직업가치관

개인지향(83)
자율(54)
타인에 대한 영향(30)
이타(26)
인정(23)

업무활동 중요도

전자장비 유지 보수(97)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1)
기계장비 유지 보수(89)
차량, 기계, 장비 작동(83)
기계장치 제어(78)

업무활동 수준

전자장비 유지 보수(94)
기계장비 유지 보수(87)
차량, 기계, 장비 작동(87)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7)
기계장치 제어(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