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시험원
에너지·환경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comment
환경공학과 관련된 연구 및 개발과 관련하여 환경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지휘·감독하에 기술적 업무를 수행한다.
환경공학시험원이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필요로 한다.공공기관이나 연구소에서 근무할 경우 학사이상의 학력을 요구하기도 한다.관련 전공으로는 환경학, 환경공학, 환경보건학, 생물학 등이 있다.이들은 주로 환경관련 기업, 환경시험분석센터, 국공립 환경 연구소 등에서 활동한다.
- 직무 관련 역량
- 환경공학과환경기능사(국가기술)
- 일자리현황
-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환경공학시험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범세계적 환경규제와 환경의식 급성장으로 환경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이 예상된다.환경분야는 각종 시험 및 분석을 통해 기준에 부합여부를 판단하고 각종 시정명령과 법적제제의 근거가 되기 때문에 시험원의 역할을 매우 중요하다.환경은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에 향후 5년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환경과 관련된 규제는 강화될 것으로 보여 시험분석을 위한 일거리는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정부는 우리생활에 밀접하게 사용되는 생활화학제품의 안전관리를 위해 조사대상 제품을 기존 18종에서 27종으로 확대하고, 안전·표시기준 모니터링을 강화하였다.아울러 유해성 검증 없이는 살생물제품 출시를 불허하고, 안전이 확인된 물질만 제품 내 사용을 허용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살생물제 관리법을 제정할 예정이다.또한 화학 물질 유해성 관리 강화를 위해 연간 1톤 이상 사용되는 기존 화학물질(약 7,000종)은 기업이 유해성 정보를 ’30년까지 등록토록 하고, 화학물질을 판매할 때에는 유해성 정보를 의무적으로 제공토록 할 계획이다.이처럼 대기, 수질, 소음, 진동, 토양, 폐기물 등 각종 환경관련 기준이 강화되는 등 시험 의뢰 건수 증가 가능성은 있어 시험기관 수도 증가하고 일자리 증가에도 긍정적이나 시험기관 입장에서는 시약, 장비 등의 비용 및 인건비 증가분에 비해 시험비용은 크게 증가하지 않는 등 신규 일자리 고용에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또한 시험분석 장비의 자동화로 분석전문가에 비해 역할이 축소되고 입지가 좁아질 수 있다.따라서 향후 5년 동안 환경공학시험원의 일자리는 증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