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채굴단순종사원

건설·채굴 단순 종사자 | 건설·채굴직

comment

건축 및 토목공사현장, 광산 또는 채석장 등에서 숙련된 작업원의 지시에 따라 독자적인 판단이나 기술이 필요치 않은 반복적인 육체노동을 수행한다.

건설·채굴단순종사원이 되기 위해 필요한 학력이나 연령, 자격 등의 제한이 없다.작업현장에서 숙련자로부터 간단한 작업지시와 주의사항을 들은 후 바로 일할 수 있다.훈련이나 교육보다는 경험을 통해 업무의 숙달도를 높일 수 있고, 경력이 있으면 취업에 도움이 된다.

직무 관련 역량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건설·채굴단순종사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건설·채굴단순종사원의 일자리는 건설경기 전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100%를 상회하는 주택보급률, 저출산 고령화 등에 따른 신규건축 수요 감소, 가계대출 억제와 신규 분양물량 조절 정책 등으로 민간건축시장이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현재 우리나라는 도로, 철도, 항만 등의 사회기반시설이 어느 정도 갖추어진 성숙기에 접어들었고 이는 공공부채 증가를 억제하려는 정부정책과 더불어 신규 공공건설 투자를 위축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반면에 국내 건설 산업이 2020년을 전후하여 본격적인 성숙 단계에 진입하면서 기존 건축물에 대한 리모델링과 재건축 시장이 성장할 것이고, 침체된 도심을 되살리는 도시재생 사업도 본격화할 것이다.문화와 여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각종 박물관, 미술관, 체험관 등의 문화시설, 숙박시설, 레저시설 등에 대한 건축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무엇보다 건설 및 광업 단순종사원의 일자리에 긍정적 요인은 건설경기의 부정적 전망에도 불구하고, 건설부재의 공장생산화나 건설기계의 발전으로 현장에서 숙련기술이 필요한 기능공의 업무는 감소하는데 비해 단순 업무는 증가한다는 것이다.또한 무기능 구직자들이 비교적 쉽게 일자리를 구할 수 있는 분야가 건설 현장이다.단순노무직에 대해 청년층의 진입 기피와 근로자의 고령화가 심각하기 때문에 단순노무직에 대한 구인난은 계속될 것이므로 취업경쟁률은 낮을 것이다.다만, 단순노무직의 빈 일자리를 저임금의 외국인(동포 포함) 근로자가 채우고 있기 때문에 취업 시 외국인 근로자들과의 취업경쟁이 있을 수 있다.

지식

건축 및 설계(91)
기계(68)
운송(64)
안전과 보안(64)
공학과 기술(61)

업무환경

규칙적인 근무(100)
고지대 작업(100)
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100)
오염물질 노출(100)
균형을 유지하기(99)

성격

협조(50)
자기통제(49)
리더십(49)
스트레스 감내성(48)
타인에 대한 배려(47)

흥미

예술형(Artistic)(11)
사회형(Social)(11)

직업가치관

다양성(18)
애국(9)
신체활동(6)
지적 추구(5)
개인지향(5)

업무활동 중요도

물건 조종, 운반(95)
일반적인 신체활동(90)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2)
기계장치 제어(81)
차량, 기계, 장비 작동(77)

업무활동 수준

물건 조종, 운반(92)
일반적인 신체활동(89)
기계장치 제어(78)
차량, 기계, 장비 작동(74)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