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상품개발자

여행 서비스원 | 미용·여행·숙박·음식·경비·청소직

comment

여행사에서 관광 상품을 기획, 개발하며 고객과의 상담업무를 수행한다.

여행상품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여행 관련 분야의 업무경험이 있거나 국내외 여행 경험이 많은 것이 유리하며, 특별히 요구되는 학력은 없다.대학에서 관광학 등 관광 관련 학과를 졸업하면 관광학의 기초이론을 비롯해 여행업, 호텔경영 등 관광산업과 관련된 전반적인 분야를 배울 수 있다.여행상품개발자는 여행 업무를 비롯해 여행지역에 대한 교통이나 지리, 숙박, 문화 등 모든 정보를 숙지하고 있어야만 업무 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련 회사에 취업해도 처음부터 여행상품개발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티켓발권과 여행안내 등의 관련 업무를 통해 일정 이상의 경력을 쌓은 후에 여행상품개발자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직무 관련 역량
국제지역학과
관광통역안내사(국가전문)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여행상품개발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한국고용정보원의 「2015-2025 중장기인력수급전망」(2016)에 따르면, 여행사무원은 2015년 약 28천 명에서 2025년 32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4천 명(연평균 1.3%)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생활수준이 점점 높아지면서 여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주5일 근무제로 여행과 레저산업의 규모가 커지고 있다.1인 가구 증가로 자신에 대한 투자를 증대시켜 여가에 대한 시간적, 경제적 여유로 여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으로써 여행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최근에는 여행과 관련된 요구가 다양해지면서 개별여행에 대한 선호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그러나 여행과 관련된 정보의 접근이 과거와 달리 손쉬워졌다.인터넷의 여행후기 블로그 등의 영향과 여행을 테마로 한 TV 프로그램 등 때문에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구할 수 있어 여행상품개발자의 역할이 과거만큼 절대적이지 않을 수 있다.

지식

역사(94)
지리(93)
영업과 마케팅(90)
영어(90)
고객서비스(83)

업무환경

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95)
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93)
이메일 이용하기(89)
갈등 상황(84)
다른 사람과의 접촉(83)

성격

사회성(82)
협조(79)
리더십(75)
타인에 대한 배려(73)
책임과 진취성(71)

흥미

진취형(Enterprising)(82)
탐구형(Investigative)(76)

직업가치관

개인지향(85)
성취(81)
신체활동(79)
심신의 안녕(77)
인정(73)

업무활동 중요도

창조적 생각(97)
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95)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91)
협상, 갈등 해결(90)
사물, 행동, 사건 파악(89)

업무활동 수준

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98)
창조적 생각(95)
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90)
협상, 갈등 해결(90)
사물, 행동, 사건 파악(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