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사

의료기사·치료사·재활사 | 보건·의료직

comment

표준화된 검사와 관찰을 통해 언어장애 환자의 장애원인을 평가·진단하고 치료한다.

언어치료사가 되기 위해서는 언어재활 관련학과(언어치료, 언어병리, 또는 언어재활이 포함된 학과)를 졸업하고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언어재활사 면허시험에 합격해야 한다.2017년 현재 전국 언어재활관련 학과는 4년제 대학교 9개교, 대학원 16개 과정, 전문대학교 6개교 그리고 사이버대학교 1개교 등 총 32곳이 있다.언어재활사 면허시험은 1급과 2급으로 구분된다.2급은 언어재활학사학위자가 응시할 수 있으며, 신경언어장애, 언어발달장애, 유창성장애, 음성장애, 조음음운장애 등에 대한 내용으로 시험을 보게 된다.1급은 석박사 학위수여자와 재활기관 근무경력이 있는 사람이 응시할 수 있으며, 2급에서 다루는 내용 이외에도 언어재활현장실무에 대해서도 시험을 보게 된다.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 의하면 2016년 12월에 시행된 2급 언어재활사 면허시험에 응시한 1,517명 중에 1,272명(83.8%) 합격하였으며 1급 언어재활사 면허시험에 308명이 응시하여 243명(78.9%)가 합격하였다.

직무 관련 역량
특수교육학과
언어재활사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언어치료사의 고용은 증가할 전망이다.언어장애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면서 교육과 치료를 통해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에 많은 관심을 가짐에 따라 향후 언어치료사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예전에는 아이들이 말을 늦게 배우는 것에 부모들이 별관심이 없었지만 최근에는 적극적으로 치료하려는 부모들이 늘고 있다.이처럼 사회복지와 생활수준이 향상될수록 언어장애를 치료하는 언어치료사에 대한 수요도 늘어날 전망이다.그러나 매년 대학 및 대학원의 관련학과 졸업생이 많기 때문에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식

심리(89)
상담(88)
교육 및 훈련(81)
의료(77)
국어(75)

업무환경

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96)
사람들과 직접 접촉(93)
의사결정 가능성(91)
외부 고객 대하기(91)
연설, 발표, 회의하기(88)

성격

타인에 대한 배려(68)
사회성(52)
인내(51)
성취
노력(48)
자기통제(48)

흥미

탐구형(Investigative)(99)
사회형(Social)(98)

직업가치관

타인에 대한 영향(94)
이타(93)
신체활동(89)
심신의 안녕(88)
인정(83)

업무활동 중요도

사람들을 배려, 돌봄(100)
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6)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5)
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4)
조직 외부인과 소통(94)

업무활동 수준

사람들을 배려, 돌봄(99)
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6)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5)
사람들을 훈련, 교육(95)
사물, 행동, 사건 파악(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