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선전기공

전기공 | 설치·정비·생산직

comment

송전, 송전활선, 배전, 배전활선 등 옥외 전기설비의 시공 및 보수를 한다.

외선전공이 되는 데 특별한 학력제한은 없지만, 전기회로나 배선도면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수준이 필요하다.실제 외선전공들 대부분은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이거나 공공 및 민간 직업훈련기관의 전기 관련과를 졸업한 경우가 많다.요즘은 2~3년제 대학 이상의 학력으로 전공이 되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다.전력 및 전기 시설이 점점 대용량화·고속화하고 있기 때문에 늘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여야 하며 전기에 관한 이론적 지식과 함께 현장 실무 경험이 반드시 필요하다.작업 중에 여러 색상의 전선을 구별해야 할 때가 많으므로 색맹이면 업무수행이 어렵다.

직무 관련 역량
전기공학과
전기공사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외선전기공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외선전기공은 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를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철탑이나 전주, 전선 등을 설치하고 가설하는 일을 하는데, 현장작업이 많은 전기설비직종은 전통적인 3D직종으로 인식되어 신규 취업 희망자가 줄어들면서 업체들은 심각한 구인난을 겪고 있다.업무강도에 비해 임금이 낮고 건설업체의 특성상 하도급으로 업무가 이루어져 외선전기공 대부분의 신분이 안정되지 못한 것도 한 원인이기도 하다.외선공사를 담당하는 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려는 하도급 업체의 관행도 외선전기공의 수요에 부정적 요인이 될 수 있다.

지식

안전과 보안(61)
공학과 기술(59)
지리(56)
기계(56)
컴퓨터와 전자공학(53)

업무환경

위험한 상태 노출(100)
고지대 작업(100)
실외 근무(98)
보호장비 착용(97)
서서 근무(97)

성격

독립성(38)
혁신(37)
타인에 대한 배려(37)
리더십(36)
적응성
융통성(33)

흥미

현실형(Realistic)(87)
탐구형(Investigative)(24)

직업가치관

다양성(56)
고용안정(43)
경제적 보상(41)
성취(40)
이타(37)

업무활동 중요도

차량, 기계, 장비 작동(95)
일반적인 신체활동(93)
기계장비 유지 보수(91)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0)
물건 조종, 운반(87)

업무활동 수준

일반적인 신체활동(95)
차량, 기계, 장비 작동(94)
물건 조종, 운반(94)
기계장치 제어(93)
기계장비 유지 보수(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