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조립라인·산업용 로봇조작원

자동조립라인·산업용로봇 조작원 | 설치·정비·생산직

comment

현장의 작업에 맞게 자동조립라인 및 산업용로봇을 제어하고 조작한다.

공업계 고등학교나 각종 직업훈련기관의 기계과, 컴퓨터응용기계과, 정밀기계과, 전산응용 기계과, 금형설계과 등에서 공작기계에 관한 교육을 체계적으로 받는 것이 중요하다.이러한 교육기관을 통하여 기계설계도 해독, 기계가공, 공업수학, 프로그래밍 등을 배우게 된다.그리고 2년제 대학 이상 기계관련 학과에서 이론과 실기를 포함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직무 관련 역량
생산자동화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자동조립라인 및 산업용로봇조작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기업들이 인건비를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점차 생산자동화를 위해 자동조립라인이나 산업용로봇을 많이 도입하고 있다.제품의 해외 현지생산 증가, 제조 공정상의 자동 조립라인 증설, 조립로봇과 같은 자동화 기술 도입에 따른 생산성 향상 등으로 기업체에서는 로봇이나 자동 조립라인이 자리매김하고 있다.하지만 로봇을 조작하는 자동조립라인 및 산업용로봇조작원의 고용은 당분간 소폭 증가세를 유지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증가세의 추이가 꺾여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식

기계(94)
상품 제조 및 공정(89)
공학과 기술(87)
안전과 보안(72)
컴퓨터와 전자공학(71)

업무환경

서서 근무(97)
자동화 정도(96)
온몸 진동 노출(92)
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86)
소음 노출(85)

성격

혁신(56)
분석적 사고(51)
스트레스 감내성(50)
협조(49)
꼼꼼함(49)

흥미

현실형(Realistic)(89)
관습형(Conventional)(27)

직업가치관

경제적 보상(60)
다양성(56)
지적 추구(49)
심신의 안녕(49)
고용안정(46)

업무활동 중요도

전자장비 유지 보수(98)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6)
차량, 기계, 장비 작동(96)
기계장치 제어(95)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2)

업무활동 수준

전자장비 유지 보수(96)
차량, 기계, 장비 작동(94)
기계장치 제어(92)
기계장비 유지 보수(90)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