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식품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comment

과학 및 공학원리를 식품에 관한 조사, 개발, 생산기술, 품질관리, 포장, 가공 및 이용 등의 문제에 적용한다.

식품공학기술자로 일하려면 대학교에서 식품공학, 식품가공학, 식품분석학 등 식품 관련학을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다.이 외에도 화학, 나노바이오, 저장유통, 유전학, 수의학(동물실험 등) 등 식품공학기술자의 전공은 매우 다양한 편이다.

직무 관련 역량
농업학과
수산제조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식품공학기술자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생활수준이 높아질수록 식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데 특히 안전한 먹을거리에 대한 높은 관심은 식품공학기술자의 고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최근 수입 쇠고기의 광우병 우려, 멜라민 파동, 가공식품 내 이물질 혼입 등 먹을거리 문제가 사회문제화 되면서 식품공학기술자 가운데 식품안전성검사나 유해성분 연구, 식품위생을 담당할 인력의 고용 증가가 예상된다.정부에서는 식품산업을 활성화하고자 전통 발효식품, 고기능성식품, 친환경식품 등의 연구개발에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며 쌀, 감자 등 농산물을 가공하여 고부가가치를 양산하는 식품을 생산·유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또한, 기업은 자사 식품에서 유해성분이 검출되거나 유통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기업 이미지에 심각한 손상을 입게 되므로 자체 식품안전성검사센터를 두고 있다.향후 관련 인력의 고용 증가는 계속될 전망이다.

지식

식품생산(99)
상품 제조 및 공정(94)
생물(94)
화학(92)
법(75)

업무환경

이메일 이용하기(92)
다른 사람과의 접촉(86)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84)
공문, 문서 주고받기(81)
연설, 발표, 회의하기(79)

성격

분석적 사고(75)
혁신(70)
꼼꼼함(69)
스트레스 감내성(62)
적응성
융통성(61)

흥미

탐구형(Investigative)(83)
관습형(Conventional)(68)

직업가치관

고용안정(99)
지적 추구(99)
경제적 보상(98)
심신의 안녕(98)
애국(95)

업무활동 중요도

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3)
정보, 자료 분석(91)
정보의 의미 해석(85)
정보 처리(85)
팀 구성, 협업 촉진(83)

업무활동 수준

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3)
정보, 자료 분석(91)
정보 처리(89)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8)
정보의 의미 해석(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