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상담전문가

사회복지사 및 상담사 | 교육·법률·사회복지·경찰·소방직 및 군인

comment

성격, 적성, 지능, 진로 및 신체적·정서적 증상 등으로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갈등에 놓인 사람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상담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상담심리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습득하고 일정 기간 수련을 거쳐야 한다.대학에서 심리학, 교육학 및 아동학 등 관련 학문을 전공한 후 상담심리학 분야의 석사 및 박사학위 과정에 진학하는 경우가 많다.대학에서 관련 학과를 전공하지 않더라도 상담 관련 대학원에 진학하여 전문지식을 습득하면 상담전문가로 진출할 수 있다.상담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지도와 조언 아래 지속적인 훈련으로 실제 경험을 쌓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직무 관련 역량
가정관리학과
상담심리사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상담전문가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사회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현대인의 정신건강이 한 개인의 문제뿐 아니라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였다.치열한 경쟁, 바쁜 일상, 휴식 부족, 대화 단절 등으로 대다수의 현대인이 크고 작은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심각한 스트레스로 우울증이나 중독 등의 문제를 겪는 사람이 늘고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등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적극적인 예방과 치료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우리나라에 비해 상담산업이 발전된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화가 진행되고 있어 산업특성, 수요계층에 따른 상담사들이 세분되며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지식

상담(97)
심리(96)
철학과 신학(87)
사회와 인류(76)
교육 및 훈련(75)

업무환경

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90)
다른 사람과의 접촉(86)
외부 고객 대하기(82)
연설, 발표, 회의하기(80)
앉아서 근무(80)

성격

타인에 대한 배려(85)
정직성(78)
신뢰성(78)
스트레스 감내성(78)
자기통제(76)

흥미

사회형(Social)(99)
예술형(Artistic)(65)

직업가치관

이타(98)
지적 추구(98)
심신의 안녕(98)
다양성(97)
개인지향(96)

업무활동 중요도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98)
사람들을 배려, 돌봄(98)
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8)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7)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97)

업무활동 수준

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8)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98)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98)
사람들을 배려, 돌봄(98)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