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텐터

주방장 및 조리사 | 미용·여행·숙박·음식·경비·청소직

comment

음료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지고 고객의 주문에 따라 각종 알콜음료 및 비알콜음료를 제조하여 제공한다.

바텐더로 취업할 때 자격증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호텔과 같은 고급 업소에서는 자격증을 요구하는 일이 많고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기도 한다.따라서 사설 칵테일학원에서 교육을 받거나 강좌를 수강한 후 조주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에 도움이 된다.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호텔경영학과, 외식산업과, 조리학과 등에서 호텔식 음료관리론, 주류학, 주조이론 및 실습 등에 관한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또한, 바텐더 보조원으로 근무하면서 경험을 쌓는 방법 등이 있다.외식업체나 전문 바에서 바텐더로 일하기 위해서는 다재다능한 개인기를 익혀두는 것이 좋다.술병을 잡고, 던지고, 치고, 받는 등의 기술은 물론이고 마술이나 춤 등 엔터테이너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는 것이 유리하다.직접 바를 운영할 경우 경제학적인 지식이 요구되며 고객과의 대화에 응하기 위해 평소 시사상식과 같은 교양을 쌓아두는 것이 필요하다.이 밖에 호텔이나 고급레스토랑의 바텐더로 일하면 외국인 고객과 접할 기회가 많으므로 외국어 구사능력을 갖추어 놓는 것이 필요하다.

직무 관련 역량
식품조리학과
조주기능사(국가기술)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바텐더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주점에서의 술 소비는 경기 상황에 매우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국내 경기부진과 가계부채 증가, 가계소득 상승률 저하 그리고 기업 구조조정의 등으로 주점업계는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더욱이 2016년 9월에 시행된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일명, 김영란법)로 인해 고급 주점을 중심으로 경영난을 겪게 되고, 이는 바텐더의 고용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그에 비해 조주기능사 자격 취득자 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2010년 이후 매년 3,000여 명의 조주기능사 자격증 취득자가 배출되고 있는데, 2015년에는 3,554명이 자격을 취득하여 총 자격취득자 수는 4만4,008명에 이르고 있다.대학의 식음료 관련학과, 직업교육·훈련기관을 통해 바텐더에 종사할 수 있는 인력들이 꾸준히 배출되고 있어서 취업경쟁률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지식

식품생산(90)
영업과 마케팅(82)
고객서비스(78)
철학과 신학(75)
예술(68)

업무환경

서서 근무(99)
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97)
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97)
주말 및 공휴일 근무(96)
마감시간(94)

성격

혁신(67)
타인에 대한 배려(65)
독립성(60)
정직성(57)
사회성(56)

흥미

예술형(Artistic)(96)
진취형(Enterprising)(92)

직업가치관

경제적 보상(47)
개인지향(46)
신체활동(43)
지적 추구(36)
이타(28)

업무활동 중요도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96)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94)
대인관계 유지(73)
사람들을 배려, 돌봄(71)
물건 조종, 운반(71)

업무활동 수준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96)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95)
대인관계 유지(89)
일반적인 신체활동(77)
물건 조종, 운반(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