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앱개발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comment

모바일기기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고객의 요구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개발하고 유지·관리·보수한다.

과거의 휴대폰이 스마트폰으로 변경되면서 모바일콘텐츠 개발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개발로 진화되고 있다.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은 노트북과 데스크탑 등 컴퓨터에서 사용하던 소프트웨어를 스마트폰에 설치해 언제 어디서든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달력이나 일정관리, 시계, 카메라 등의 기본 유틸리티뿐 아니라, 지도, 검색, 교통, 커뮤니티, 은행, 교육, 게임, 영화 등 온라인으로 볼 수 있는 모든 것들이 앱으로 구현되고 있다.모바일콘텐츠를 개발하려면 먼저 기술력도 있어야 하지만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고 이러한 능력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발상으로 콘텐츠나 아이템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기본적으로 전산프로그래밍 능력과 그래픽 구현 능력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정보통신 관련학과 출신자들이 많다.

직무 관련 역량
시각디자인학과
정보처리기능사,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모바일콘텐츠개발자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16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콘텐츠시장 규모는 2015년 기준 520억달러(약 59조7천억원)로 전년도 490억달러(56조2천520억원)보다 6.1%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게임을 넘어 여행, 쇼핑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가상현실(VR) 기술을 활용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므로 가상현실을 접목한 콘텐츠의 미래는 밝을 것으로 전망된다.스마트폰이 거의 필수품이 되었고, 데이터베이스 산업의 성장으로 기존 PC 기반의 온라인 서비스로 제공되던 DB서비스가 모바일 DB 환경으로 전환되고,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개인의 소통 도구에서 그치지 않고 기업의 혁신적인 마케팅, CRM도구로 진화하면서 모바일 기반의 비즈니스가 확산되고 있다.한국콘텐츠진흥원은 우리나라의 콘텐츠시장이 향후 5년간 4.4%의 연평균성장률(CAGR)을 유지해 2020년 640억달러(73조4천720억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따라서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기기의 폭발적인 증가로 모바일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는 인력에 대한 고용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식

컴퓨터와 전자공학(95)
통신(89)
영어(85)
공학과 기술(80)
산수와 수학(78)

업무환경

재택근무(99)
앉아서 근무(92)
이메일 이용하기(87)
정확성, 정밀성 유지(79)
실내 근무(76)

성격

분석적 사고(82)
성취
노력(74)
책임과 진취성(72)
협조(71)
신뢰성(71)

흥미

탐구형(Investigative)(75)
예술형(Artistic)(52)

직업가치관

신체활동(96)
애국(80)
지적 추구(73)
타인에 대한 영향(61)
인정(53)

업무활동 중요도

창조적 생각(98)
컴퓨터 업무(97)
정보 수집(90)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0)
목표, 전략 수립(82)

업무활동 수준

창조적 생각(96)
컴퓨터 업무(92)
정보 수집(83)
목표, 전략 수립(82)
정보 처리(79)